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정공작[淸淨公綽] ~ 청정채[淸淨債] ~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31  

청정[靑精] 도가(道家)에서 청정석(靑精石)으로 지은 밥[]을 이르는데, 이것을 오래 복용하면 안색이 좋아지고 장수를 한다고 한다.

청정[靑精] 식물 이름. 일명 남촉(南燭)으로 그 줄기와 잎을 찧어 즙을 짜서 그 즙에다 쌀을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을 한 다음 그 쌀로 밥을 짓는데, 신선(神仙)이 먹는다고 한다. <神仙傳>

청정공작[淸淨公綽] 논어(論語) 헌문(憲問)맹공작(孟公綽)은 조() 나라나 위() 나라 대부의 가신(家臣)은 될 수 있지만 등() 나라나 설() 나라의 대부는 될 수 없다.”고 한 말이 있는데, 그 주에 공작은 노 나라 대부인데, 염정(廉靜)하고 욕심은 없으나 재주가 적은 사람이다.” 하였다.

청정반[靑精飯] 청정반은 도가(道家)에서 청정석(靑精石)으로 지은 밥을 이르는데, 이것을 오래 복용하면 장수한다고 한다.

청정채[淸淨債] ()에 통하여 청정(淸淨)에 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소식시(蘇軾詩)산중에 청정의 빚을 질까 걱정이다.[恐負山中淸淨債]”라고 하였다.

청제[靑帝] 천제(天帝)의 이름으로 동방을 맡은 신인데, 동방은 봄에 해당된다 하여 봄의 신이라고도 한다.

청제[靑齊] 청주와 제주. 중국의 발해와 산동성 지역을 범칭(泛稱)한 것임.

청제당익로[靑齊當鷁路] 옛날 제() 나라 땅인 청주(靑州) 즉 산동반도 일대가 청() 나라에 넘어간 것을 말한다. 익로(鷁路)물새 여섯 마리가 하늘에서 거센 바람을 만나 뒤로 밀려 날아갔다.[六鷁退飛]”는 고사에서 연유하여, 재앙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春秋左傳 僖公 16>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충정(忠正)한 마음을 견지하며 혼탁한 시류(時流)에 휩쓸리지 말라는 말이다. () 나라의 제수는 맑고 하수는 흐렸던 데에서 나온 말이다. <戰國策 燕策>

 

 



번호 제     목 조회
437 가산[假山]~가산[賈山]~가삽삼만축[架揷三萬軸] 2041
436 반여[潘輿] ~ 반연연산명[班掾燕山銘] ~ 반용세[攀龍勢] 2039
435 달수[獺髓] ~ 달유보본[獺猶報本] ~ 달인비과망[達人非果忘] 2038
434 청란미[靑鸞尾] ~ 청려장[靑藜杖] ~ 청련시금속[靑蓮是金粟] 2037
433 확상포[矍相圃]~확호불발[確乎不拔]~환각주인지[喚却主人知]~환결[環玦] 2036
432 통덕[通德]~통만[統萬]~통반[筒飯]~통방외[通方外] 2035
431 청정공작[淸淨公綽] ~ 청정채[淸淨債] ~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2032
430 탕한[湯旱]~탕확[湯鑊]~탕휴[湯休]~태갑[太甲] 2032
429 반착[盤錯] ~ 반착기[盤錯器] ~ 반첩여[班婕妤] 2031
428 체용리[體用離] ~ 체원삼화육[體元參化育] ~ 체화승악[棣華承萼] 2031
427 칠발[七發] ~ 칠보시[七步詩] ~ 칠불감[七不堪] 2031
426 천부[天府] ~ 천부농단경분리[賤夫壟斷競分釐] ~ 천부당만부당[千不當萬不當] 2029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