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죽게[靑竹偈] ~ 청진[淸塵] ~ 청징[淸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32  

청죽[靑竹] 청사(靑史), 사적(史籍)을 말한다. 고대에는 죽간(竹簡)에 역사를 기록하였다.

청죽게[靑竹偈] 세상과는 동떨어진 별천지의 신비한 이야기라는 말이다. 후한(後漢)의 술사(術士) 비장방(費長房)이 호공(壺公)에게서 푸른 대나무 지팡이를 받아 공중을 비행하였다는 전설이 전한다. <後漢書 卷82下 方術列傳下 費長房傳> 참고로 이백(李白)의 시에 작별의 지팡이 청죽을 남겨 두고, 노래를 부르며 자연의 땅을 밟노매라.[別杖留靑竹 行歌躡紫煙]”라는 표현이 있다. <李太白集 卷16 奉餞高尊師如貴道士傳道籙畢歸北海>

청준[靑樽] 가득 따른 술잔을 말한다. 술의 별명이 녹의(綠蟻)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청진[淸塵] 청고(淸高)한 유풍(遺風)이나 고상한 기질을 뜻하는 말로, 상대방에 대한 경칭(敬稱)이다.

청질[淸質] 맑고 깨끗한 달빛을 뜻하는 시어이다. 남조 송() 사장(謝莊)월부(月賦)’서서히 떠오르는 저 맑은 바탕이여, 우윳빛 달빛을 내려보내 감싸주네.[升淸質之悠悠 降澄輝之藹藹]”라는 표현에서 비롯된 것이다.

청징[淸澄] 맑고 깨끗하다.

 

 



번호 제     목 조회
4937 탕한[湯旱]~탕확[湯鑊]~탕휴[湯休]~태갑[太甲] 2610
4936 천룡일지[天龍一指] ~ 천루간화[濺淚看花] ~ 천리구[千里駒] 2611
4935 호사다마[好事多魔]~호사수구[狐死首丘]~호사유피[虎死留皮]~호사휴호지[好事携壺至] 2611
4934 천교목[遷喬木] ~ 천교쇄경핵[遷喬刷勁翮] ~ 천구영독윤[天球暎櫝潤] 2613
4933 청리첩[靑李帖] ~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 청몽승저[淸夢乘軧] 2614
4932 천미[川媚] ~ 천방[千房] ~ 천벽분등[穿壁分燈] 2616
4931 우산사양[牛山斜陽] ~ 우산석휘비[牛山夕暉悲] ~ 우산성리[雨散星離] 2618
4930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619
4929 체용리[體用離] ~ 체원삼화육[體元參化育] ~ 체화승악[棣華承萼] 2619
4928 답가[踏歌] ~ 답렵[踏獵] ~ 답습[踏襲] 2620
4927 마경[馬卿] ~ 마경가[馬卿家] ~ 마경유공[馬卿遊邛] 2623
4926 무릉생추초[茂陵生秋草] ~ 무릉선촌[武陵仙村] ~ 무릉소갈객[茂陵消渴客] 2623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