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초룡장[草龍帳] ~ 초룡주장[草龍珠帳] ~ 초루[楚纍]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114  

초룡[草龍] 초룡은 바로 포도(葡萄)를 가리킨다. 당 현종(唐玄宗) 때 사문(沙門) 담소(曇霄)가 포도곡(蒲萄谷)에서 노닐다가 포도를 먹고는 포도의 마른 덩굴 하나를 가져와 자기의 절에 옮겨 심었는데, 이것이 살아나서 덩굴이 대단히 높고 넓게 뻗어 마치 유개(帷蓋)처럼 되고, 그 열매 또한 구슬처럼 주렁주렁 열리었으므로, 시인(時人)들이 그 포도를 초룡주장(草龍珠帳)이라 불렀던 데서 온 말이다.

초룡장[草龍帳] 유양잡조(酉陽雜俎)구구(具丘)의 남쪽에 포도곡(葡萄谷)이 있는데, 천보(天寶) 연간에 사문(沙門) 담소(曇霄)가 여기에 왔다가 마른 넝쿨을 얻어서 본사(本寺)로 돌아가 심었더니, 높이가 두어 길이나 자라서 그늘진 땅이 둘레가 10여 장()이나 되었다. 그래서 쳐다보면 마치 유개(帷蓋)와 같았고 그 주렁주렁한 열매들은 마치 자줏빛 구슬처럼 생겼으므로, 사람들이 이것을 초룡주장(草龍珠帳)이라 호칭했다.”고 하였다.

초룡주장[草龍珠帳] 포도(葡萄)를 이른다.

초루[楚膢] ()는 초()에서 매년 12월에 지내는 제사 이름이다.

초루[譙樓] 성문 위의 망루(望樓). 일반적으로 고루(鼓樓)라 부른다.

초루[楚纍] () 나라 양웅(揚雄)의 반이소(反離騷)삼가 초() 나라의 상루(湘纍)에게 조의를 표한다.”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상강(湘江)에 빠져 죽은 굴원(屈原)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번호 제     목 조회
197 번안[飜案] ~ 번영[繁纓] 5997
196 번수[樊須] ~ 번승완불사[樊蠅頑不死] 5998
195 이유염매[爾惟鹽梅] ~ 이육[二陸] ~ 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 5998
194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6001
193 자오[慈烏] ~ 자오반포[慈烏反哺] ~ 자우[子羽] 6004
192 장진응참양졸구[張陣應慚養卒口] ~ 장진주[將進酒] ~ 장차공[張次公] 6008
191 의려[倚廬] ~ 의려지망[依閭之望] 6009
190 장수거지어[莊叟詎知魚] ~ 장수마[莊叟馬] ~ 장수선무[長袖善舞] 6009
189 곽외[郭隗] ~ 곽희[郭熙] 6010
188 자수추망[刺水抽芒] ~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신지[子愼之] 6013
187 진효부[陳孝婦] ~ 진훤[陳暄] ~ 질도[郅都] 6013
186 자장[子長] ~ 자장격지[自將擊之] ~ 자장유[子長遊] 6014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