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태극공랑[太極空囊]~태극도[太極圖]~태려[泰厲]~태뢰[太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113  

태극[太極] 천지와 음양이 나누어지기 이전의 혼돈한 상태를 말한다.

태극공랑[太極空囊] 천지가 생기기 이전을 말한다. 주역(周易) 계사상(繫辭上)()에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兩儀; 음양 즉 천지를 말한다)를 낳았다.[易有太極 是生兩儀]”고 하였다.

태극도[太極圖] 북송(北宋)의 주 염계(周濂溪)가 지은 책. 무극(無極)인 태극에서부터 음양오행과 만물이 생성하는 발전 과정을 도해하여 태극도를 만들고 여기에 설명을 붙였다. 태극도설(太極圖說). <周濂溪 太極圖說>

태두[台斗] 삼태성(三台星)과 북두성(北斗星)으로, 삼공(三公) 즉 정승이 되어 만인의 존경을 받는 원로가 됨을 의미한다.

태두[泰斗] 태산북두(泰山北斗)의 준말. 어떤 전문 분야에서 첫손을 꼽을 만큼 권위가 있는 사람 또는 세상 사람들이 우러러 받들고 존경하는 사람.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

태려[泰厲] 옛날 후사(後嗣)가 없이 죽은 제왕(帝王)의 귀신인데, 이 귀신은 의탁할 곳이 없어 백성들에게 재앙을 잘 내리므로 그를 제사지낸다고 한다. <禮記 祭法>

태뢰[太牢] 고대 중국에서 소, 돼지, 양 각 한 마리씩을 잡아 음식을 준비하여 손님을 접대하거나 제사를 모시는 것을 말한다. 제후들만이 행할 수 있는 주례 중의 하나다.

태뢰[太牢] , 돼지, 양 각각 1마리 씩을 잡아 접대하는 것을 태뢰라 하고 10태뢰는 각각 10마리 씩을 잡아 접대한다는 뜻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85 파과지년[破瓜之年]~파교풍설[灞橋風雪]~파교행음[灞橋行吟] 2122
484 기해[祁奚] ~ 기현[夔蚿] ~ 기현국[夔玄國] 2121
483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118
482 명용계의[明用稽疑] ~ 명운종수[命隕從獸] ~ 명원루[明遠樓] 2117
481 녹린[綠鱗] ~ 녹림[綠林] ~ 녹림호객[綠林豪客] 2116
480 부량가[浮梁賈] ~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 부림[傅霖] 2114
479 북고[北固] ~ 북궁영아[北宮嬰兒] ~ 북극성[北極星] 2114
478 천보시[天保詩] ~ 천보영관[天寶伶官] ~ 천복뢰[薦福雷] 2114
477 태극공랑[太極空囊]~태극도[太極圖]~태려[泰厲]~태뢰[太牢] 2114
476 부마[駙馬] ~ 부미금[付美錦] ~ 부민가[阜民歌] 2113
475 은망해삼면[殷網解三面] ~ 은미[隱微] ~ 은배우화[銀杯羽化] 2111
474 천책부[天策府] ~ 천촌만락[千村萬落] ~ 천추소자유[千秋蘇子遊] 211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