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토홍예[吐虹蜺]~토화[土花]~톤톤[啍啍]~통가[通家]~통관규천[通管窺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73  

토홍예[吐虹蜺] 무지개를 토한다는 것은 시문의 재주가 풍부함을 형용한 말이다.

토화[土花] 땅속에 오래 묻혀 이끼가 끼고 녹이 슬어 부식된 것을 말한다.

톤톤[啍啍] 동작이 느린 모양, 어리석은 모양, 말이 많은 모양이다.

[] 물을 막아 적당한 시기에 사용하기 위해 쌓은 제언(堤堰)을 말한다. 즉 한 제언의 수도(水道) 안에 들어 있는 경작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통가[通家] 세의(世誼)가 있는 집안이나 인척(姻戚) 사이를 뜻한다. 조상 때부터 대대로 사귀어 친히 지내는 집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공융전(孔融傳)에 공융(孔融)이 이응(李膺)에게 말하기를 나는 이군과 통가(通家)의 자제입니다.”라고 하자 이응이 무슨 말이냐고 물으니, 대답하기를 그대의 조상 공자(孔子)와 우리 조상 노자(老子)가 서로 사우(師友)간이었으니, 나와 그대는 누세(累世)의 통가입니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통고[通考] 문헌통고(文獻通考)의 약칭이다.

통공이랑[通攻吏郞] 이대엽(李大燁)이 남의 힘을 빌려 초시(初試)에 합격했고 급기야 이랑(吏郞)까지 승진했는데, 정목(政目)을 쓰면서 통정(通政)을 통공(通攻)으로 잘못 썼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이 비난하는 뜻으로 이렇게 불렀다.

통관규천[通管窺天] 대롱()을 통해() 하늘 보기(). 견문이 좁은 사람 비유하는 말이다.

통군정[統軍亭] 의주(義州)의 객관(客館) 북쪽 산 위에 서 있는 정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01 화극[畫戟]~화금[火金]~화누역경[火耨力耕] 1972
400 화산[花山]~화산[華山]~화산기[華山畿] 1971
399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1969
398 천생연분[天生緣分] ~ 천섬[薦剡] ~ 천세학귀삼교월[千歲鶴歸三嶠月] 1966
397 함향기초[含香起草]~함향봉군[含香奉君]~함휼[銜恤]~함흥차사[咸興差使] 1966
396 청이불문[聽而不聞] ~ 청작[靑雀] ~ 청재[淸齋] 1961
395 삼숙[三宿] ~ 삼숙상하지연[三宿桑下之戀] ~ 삼숙출주[三宿出晝] 1960
394 탈천형[脫天刑] ~ 탈태환골[奪胎換骨] ~ 탈토지세[脫兎之勢] ~ 탈포[奪袍] 1960
393 토각귀모[兎角龜毛]~토간[免肝]~토구[菟裘]~토규연맥[兎葵燕麥] 1960
392 청야[淸野] ~ 청양관[靑陽館] ~ 청련화중생[靑蓮火中生] 1959
391 침명도[沈冥圖] ~ 침문[寢門] ~ 침비두예[沈碑杜預] ~ 침상현비[沈上峴碑] 1957
390 청삼[靑衫] ~ 청상[靑箱] ~ 청상조[淸商調] 1956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