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파창[巴唱]~파천황[破天荒]~파체서[破軆書]~파투[巴渝]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70  

파창[巴唱] 초나라의 민간에서 유행하던 속된 노래인 파인하리(巴人下里)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세속적인 음악을 뜻한다.

파천왕[破天王] 종래에 아무도 하지 못한 큰일을 해냄. 썩 드문 성이나 또는 양반 없는 시골에서 훌륭한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비로소 벗어남.

파천황[破天荒] 오랜 황폐를 깨뜨렸다는 뜻으로 초창을 말한다. 전례가 없는 일을 처음으로 시작한다. 이전에 아무도 한 적이 없는 일을 하는 일. 사민사(謝民師)의 시에 만 리라 한때에 기족(驥足)을 달리니, 백년인 오늘날에 천황을 깨뜨렸네.[萬里一時展驥足百年今日破天荒]”라고 하였다.

파체서[破軆書] 서체(書軆)의 한 가지. () 나라 왕헌지(王獻之)가 왕희지(王羲之)의 행서(行書)를 변형하여 만든 것.

파초삼백본[芭蕉三百本] 옛날에 글씨를 잘 썼던 회소(懷素), 집이 가난하여 종이가 없어서, 고향 마을에 파초 1만 그루를 심어 놓고 그 잎에다 글씨를 연습했다 한다.

파촉[巴蜀] ()는 지금의 중경시(重慶市)를 말하고 촉은 성도(成都)를 가리킨다.

파총산[嶓冢山] 감숙성(甘肅省) 천수현(天水縣)과 예현(禮縣)의 사이에 있는 산 이름이다.

파투[巴渝] 파와 투는 모두 옛날 촉() 땅의 지명으로, 그곳의 민간 무곡(武曲)인 파투가(巴渝歌)가 있었는데, () 나라 때에 군악(軍樂)으로 채택되었다 하며, 한 고조(漢高祖)가 이를 듣고서 무왕(武王)이 주()를 정벌할 때 사용한 곡이라고 말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南蠻傳>

 

 



번호 제     목 조회
197 파창[巴唱]~파천황[破天荒]~파체서[破軆書]~파투[巴渝] 2071
196 가려지[佳麗地]~가련[可憐]~가렴[價廉]~가렴주구[苛斂誅求]~가령[家令] 2070
195 한사[寒士]~한사마[韓司馬]~한사사[漢使槎]~한사진동[漢士秦童] 2066
194 파파[派派]~파행[跛行]~파협원명[巴峽猿鳴]~파호위준[破瓠爲樽] 2062
193 할계[割雞]~할계우도[割鷄牛刀]~할고충복[割股充腹]~할관체[鶡冠體 2060
192 획획[㦎㦎]~횡거[橫渠]~횡경표맥[橫經漂麥]~횡금[橫金]~횡당[橫塘] 2059
191 해라[海螺]~해란[陔蘭]~해랑[奚囊]~해로가[薤露歌] 2058
190 호문[互文]~호미[狐媚]~호박가[胡拍笳]~호배[虎拜]~호백구[狐白裘] 2057
189 황권[黃卷]~황극[皇極]~황금대[黃金臺]~황금압[黃金鴨]~황기[黃綺] 2052
188 가매[假寐]~가명사가인[佳茗似佳人]~가명인세[假名因勢]~가모[家母]~가모[加耗] 2049
187 호가[壺歌]~호가박[胡笳拍]~호가행[浩歌行]~호가호위[狐假虎威] 2042
186 호우호마[呼牛呼馬]~호원감목[胡元監牧]~호원지리[胡苑之利]~호월고풍[壺月高風] 2042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