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판향[瓣香]~판향배[瓣香拜]~팔개[八凱]~팔결문[八結文]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78  

판향[瓣香] 꽃 이파리 모양의 향으로, 원래 선승(禪僧)들이 사람을 축복해 줄 때 사용한 것인데, 뒤에 가서는 어떤 이를 흠앙(欽仰)할 때 피우는 것으로 되었다. <祖庭事苑>

판향[瓣香] 도가어(道家語)인데 다른 사람을 흠앙하는 뜻을 기술하는 데 쓰는 용어이다. 진사도(陳師道)의 시에 平生一瓣香 敬爲曾南豐이라 하였다.

판향배[瓣香拜] 판향(瓣香)은 일판향(一瓣香) 또는 일주향(一炷香)이라고도 하는데, 승려가 향을 올리면서 이 일주향을 도법(道法)을 전해주신 아무개 법사께 경건히 바칩니다.”라고 하였다는 데서 나온 것이다.

판화[判花] 당 나라 때 중서사인(中書舍人)들의 오화판사(五花判事), 공문서나 판결문 뒤에 수결(手決)이나 함자(銜字)를 찍는 것을 말한다.

팔가[八家] 당송팔가(唐宋八家)를 말한다.

팔개[八凱] ()는 화()의 뜻으로, 고양씨(高陽氏)의 여덟 재자인 창서(蒼舒)퇴애(隤敱)도인(檮戭)대림(大臨)방강(尨降)정견(庭堅)중용(仲容)숙달(叔達)을 말한다.

팔결문[八結文] 세금을 걷을 적에 팔결(八結)을 단위로 한 사람씩 정하여 세금 수납을 맡기는 데, 이 사람이 결내(結內)의 사람들의 문서를 모아놓은 것을 가리키는 말임. 즉 문의(文義)가 없는 글이라는 뜻이다.

팔계[八溪] 초계(草溪)의 고호이다.

 

 



번호 제     목 조회
161 가변[加籩]~가병[佳兵]~가보보지[可輔輔之]~가보어산경[假步於山扃] 2070
160 환속[還俗]~환신[幻身]~환심수초부[還尋遂初賦]~환아경[換鵝經]~환아서[換鵞書] 2069
159 가근불가하[可近不可下]~가금[價金]~가급인족[家給人足]~가기[佳期]~가기[佳氣] 2066
158 형석[衡石]~형설지공[螢雪之功]~형수[荊樹]~형수화[荊樹花]~형승지지[形勝之地] 2065
157 한아[寒鴉]~한안[汗顔]~한안국[韓安國]~한양애왕[韓襄哀王] 2062
156 가서백란[佳婿伯鸞]~가서수동관[哥舒守潼關]~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 2061
155 호각[弧角]~호각지세[互角之勢]~호경[呼庚]~호계[壺界]~호계[虎溪] 2057
154 포주[蒲酒]~포주녀[抱裯女]~포중[褒中]~포참[抱槧]~포철[餔歠] 2056
153 황량몽[黃粱夢]~황량미숙[黃梁未熟]~황량일취몽[黃粱一炊夢]~황량지몽[黃粱之夢] 2053
152 포의[褒衣]~포의지교[布衣之交]~포의한사[布衣寒士]~포인계육[庖人繼肉] 2051
151 가섭미소[伽葉微笑]~가섭염화[迦葉拈花]~가섭진종[迦葉眞宗] 2048
150 황도[黃圖]~황도[黃道]~황도일[黃道日]~황독[黃獨]~황두랑[黃頭郞] 2047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