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팔고[八苦]~팔공[八公]~팔관[八關]~팔괘[八卦]~팔굉[八紘]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06  

팔고[八苦] 중생(衆生)들이 받는 8종의 고통. 생고(生苦)노고(老苦)병고(病苦)애별리고(愛別離苦)원증회고(怨憎會苦)구부득고(求不得苦)오음성고(五陰盛苦).

팔공[八公] 왕일(王逸)의 초은사서(招隱士序)옛날에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박아(博雅)하고 호고(好古)하니, 팔공(八公)의 무리가 모두 그 덕을 흠모하고 그 인()에 귀의(歸依)하였다.”라고 하였는데 팔공은 좌오(左吳)이상(李尙)소비(蘇飛)전유(田由)모피(毛披)뇌피(雷被)진창(晉昌)오피(伍被)이다.

팔공초목진감시[八公草木盡堪猜] 팔공산은 안휘성(安徽省) 동남방에 있는 산 이름인데, 진 효무(晉孝武) 태원(太元) 8(383)에 부견(苻堅)이 이 산의 초목을 보고 모두 진() 나라의 군사로 의심하였다.

팔관[八關] 팔관재(八關齋)의 약칭. 부처를 받드는 자가 갖는 재로서 남조(南朝) 때에 성행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성행하였다.

팔관대회[八關大會] 고려 때 행해진 국가적 의식의 하나이다. 고려 태조는 불교를 신앙하는 동시에 팔관회, 연등회(燃燈會)와 같은 종래의 신인공락(神人共樂)적인 의식도 중시하여 이를 국가 제전(祭典)으로 삼았다.

팔괘[八卦] 8()는 주역(周易)의 건()()()()()()()()8()를 말한다. 복희씨(宓犧氏)가 임금이 되자 용마(龍馬)가 그림을 지고 하수(河水)에서 나왔다. 복희씨는 이 그림을 보고 법받아서 팔괘를 그었는데, 이것을 복희선천(伏犧先天)’이라 한다.

팔굉[八紘] 팔방(八方)의 아주 먼 곳을 가리킨다. 구주(九州)의 바깥에는 팔인(八殥)이 있고, 팔인의 바깥에는 팔굉이 있다고 한다. <淮南子>

 

 



번호 제     목 조회
77 가고가하[可高可下]~가고분[歌叩盆]~가곡[歌哭]~가공[加功]~가공언[賈公彦] 1928
76 횡사[橫斜]~횡사[黌舍]~횡사곡직[橫斜曲直]~횡삭부시[橫槊賦詩] 1926
75 효성왕[孝成王]~효시[嚆矢]~효아총[孝鵝塚]~효제충신[孝悌忠信]~효증[殽脀] 1918
74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918
73 함곡관[函谷關]~함공[緘供]~함관자기[函關紫氣] 1917
72 황과[皇荂]~황관[黃冠]~황구요탁[黃口謠啄]~황구첨정[黃口簽丁]~황궁[黃宮] 1913
71 팔고[八苦]~팔공[八公]~팔관[八關]~팔괘[八卦]~팔굉[八紘] 1907
70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902
69 황사[黃沙]~황사랑[黃四娘]~황산곡[黃山谷]~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1902
68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893
67 할마[瞎馬]~할목무전[割目無全]~할육충복[割肉充腹]~함계설향[含雞舌香] 1891
66 가선긍불능[嘉善矜不能]~가선령[嘉善令]~가선리[駕仙鯉]~가설[假設] 189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