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포식난의[飽食暖衣]~포신구화[抱薪救火]~포양[蒲楊]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40  

포식난의[飽食暖衣]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음(). 의식(衣食)이 넉넉한 아주 편안한 생활이란 뜻. 근심없이 편안한 삶. 지나치게 편안한 것은 패륜을 낳는다는 경계의 뜻으로도 쓰인다.

포신구화[抱薪救火] 장작을 품에 안고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재해를 없애려고 하나 오히려 재해를 크게 만드는 것을 일컬음.<출전 회남자>

포씨편련아[鮑氏偏憐我] 이는 관포지교(管鮑之交)를 말한 것이다. <史記 卷 62 管仲傳>

포야위처[逋也爲妻] 임포는 처자를 거느리지 않고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은거하여 매화를 심고 학을 길렀으므로 사람들이 매처학자(梅妻鶴子)라 불렀다.

포양[蒲陽] ()나라 령으로 지금의 산서성 습현(隰縣)이다.

포양[蒲楊] 포류(蒲柳)와 같은 말로, 허약한 체질이라서 일찍 늙고 쇠해진 몸이라는 뜻이다. () 나라 고열지(顧悅之)가 간문제(簡文帝)와 동갑이었는데도 일찍 백발이 되자 그 이유를 물으니 포류와 같은 체질이라서 가을만 바라보면 벌써 떨어지고 만다.[蒲柳之資 望秋而落]”고 대답한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諺語>

 

 



번호 제     목 조회
149 한선[寒蟬]~한선자[韓宣子]~한선혜왕[韓宣惠王]~한섬노토[寒蟾露兎] 2040
148 가섭미소[伽葉微笑]~가섭염화[迦葉拈花]~가섭진종[迦葉眞宗] 2040
147 가둔[嘉遯]~가등[賈鄧]~가라수[加羅守]~가락[嘉樂]~가락시[假樂詩] 2037
146 호중세월[壺中歲月]~호중천지[壺中天地]~호중한[壺中閒] 2034
145 함이[含飴]~함인시인[函人矢人]~함장[含章]~함장석[函丈席] 2032
144 가부취결[可否取決]~가부희[假婦戲]~가분구원[加賁丘園]~가분급부[可分給付] 2030
143 합고[合考]~합관요[篕寬饒]~합구초[合口椒]~합근[合巹]~합덕[合德] 2026
142 가불매조[呵佛罵祖]~가불원[柯不遠]~가비[家備]~가비옥이봉[可比屋而封] 2025
141 형여[荊廬]~형역[形役]~형옥[荊玉]~형인[衡人]~형인양월[荊人兩刖] 2023
140 가목[假牧]~가목가[稼牧家]~가묘[假廟]~가묘사당[家廟祠堂] 2022
139 항사[項斯]~항사[恒沙]~항산[恒産]~항산사[恒山蛇]~항산항심[恒産恒心] 2021
138 팔교[八敎]~팔극[八極]~팔기[八旗]~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 2018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