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포의[褒衣]~포의지교[布衣之交]~포의한사[布衣寒士]~포인계육[庖人繼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01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호이다.

포의[布衣] 백성을 지칭한다. 벼슬하지 않고 지내는 평민을 가리키는 말.

포의[褒衣] 포의는 품이 넓은 옷으로 유자(儒者)가 입는 것이다.

포의제왕사[布衣帝王師] 장량(張良)이 공을 이룬 뒤에 말하기를 포의(布衣)로서 제왕의 스승이 되었으니 소원에 만족하다.”라고 하였다.

포의지교[布衣之交] 베옷을 입고 지낼 때 사귄 친구. 가난하고 어려울 때 사귄 친구 또는 벼슬길에 오르기 전에 사귄 벗을 이른다.

포의한사[布衣寒士] 벼슬길에 오르지 못한 선비.

포이덕취이주[飽以德醉以酒] 시경(詩經)이미 술로 취하게 하고 이내 덕으로 배불리니.[旣醉明證 旣飽以德]”라고 하였는데, 천자가 제후(諸侯)에게 연회를 베푼 데 대한 시다.

포인계육[庖人繼肉] 임금이 계속해서 음식물을 하사하였다는 뜻이다. 포인은 푸줏간 사람을 말한다. 만장(萬章)이 맹자(孟子)에게 임금이 군자를 봉양하는 도리를 묻자, 맹자가 임금의 명에 따라 물건을 가져오거든 신하는 재배하고서 받는다. 그 뒤에는 창고지기는 계속해서 곡식을 대주고, 푸줏간 사람은 계속해서 고기를 대준다.”고 하였다. <孟子 萬章下>

 

 



번호 제     목 조회
185 홍릉담[紅綾餤]~홍릉병[紅綾餠]~홍린약빙[紅鱗躍氷]~홍모척[鴻毛擲]~홍몽[鴻濛] 1496
184 형석[衡石]~형설지공[螢雪之功]~형수[荊樹]~형수화[荊樹花]~형승지지[形勝之地] 1493
183 파군오자[巴郡吳資]~파금은섬[破琴隱剡]~파랑회종각[破浪懷宗慤] 1492
182 팔교[八敎]~팔극[八極]~팔기[八旗]~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 1490
181 포식난의[飽食暖衣]~포신구화[抱薪救火]~포양[蒲楊] 1489
180 가려지[佳麗地]~가련[可憐]~가렴[價廉]~가렴주구[苛斂誅求]~가령[家令] 1488
179 혜강[嵇康]~혜강라작서[嵇康懶作書]~혜강양생[嵆康養生]~혜계[醯鷄]~혜계천[醯鷄天] 1487
178 한혈기[汗血驥]~한혈마[汗血馬]~한형주[韓荊州]~한황[漢皇] 1475
177 화씨벽[和氏璧]~화씨양[華氏羊]~화씨지박[和氏之璞]~화씨지벽[和氏之璧] 1474
176 포주[蒲酒]~포주녀[抱裯女]~포중[褒中]~포참[抱槧]~포철[餔歠] 1471
175 항사[項斯]~항사[恒沙]~항산[恒産]~항산사[恒山蛇]~항산항심[恒産恒心] 1471
174 호식내열[虎食內熱]~호아[虎牙] ~호아[胡娥]~호안[胡眼]~호앙천랑[胡昂天狼] 1469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