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함포[含哺]~함포고복[含哺鼓腹]~함함[顑頷]~함함[唅唅]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167  

함통[咸通] 당나라 의종(懿宗)의 연호이다.

함포[含哺] 입에 머금고 있던 음식물을 다른 사람에게 먹여주는 것이다. 장자(莊子) 마제(馬蹄)대저 혁서씨 때에는 백성들이 집에 있으면서 할 일을 알지 못하였고, 나가도 갈 데를 몰랐다. 음식을 먹고 즐기며 배를 두드리며 놀았다.[夫赫胥氏之時, 居民不知所爲, 行不知所之, 含哺而熙, 鼓腹而遊.]”라고 한 데서 보인다. 음식을 먹고 즐기는 것은 백성들이 어린 아이와 같이 음식을 먹고 서로 웃으며 노는 것을 말한다. 이는 옛사람들이 상상하던 원시사회의 근심 걱정 없는 생활태도이다.

함포[含哺] 함포고복(含哺鼓腹)의 준말로, 배불리 먹고 즐겁게 노는 것을 말한다.

함포고복[含哺鼓腹] 실컷 배불리 먹고 배를 두드림. 백성이 배불리 먹고 즐겁게 지내는 평화로운 모습을 이른다.

함함[嗛嗛] 원한을 품은 채 참고 견디는 모양.

함함[顑頷] 굶주려 얼굴이 누렇게 뜬 모양.

함함[含含] 보리가 잘된 모양

함함[檻檻] 수레 굴러가는 소리

함함[唅唅]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모양

 

 



번호 제     목 조회
197 한유[韓柳]~한유[韓愈]~한음[漢陰]~한음기심[漢陰機心] 2169
196 함포[含哺]~함포고복[含哺鼓腹]~함함[顑頷]~함함[唅唅] 2168
195 함도천묘[含桃薦廟]~함련[頷聯]~함로[銜蘆]~함망[銜芒]~함매[銜枚] 2167
194 탁정[卓程] ~ 탁족[度足] ~ 탁중장[槖中裝] ~ 탁창랑[濯滄浪] 2164
193 호문[互文]~호미[狐媚]~호박가[胡拍笳]~호배[虎拜]~호백구[狐白裘] 2164
192 해로동혈[偕老同穴]~해로사[薤露詞]~해로편[薤露篇]~해망은조[解網殷祖]~해망축[解網祝] 2162
191 파창[巴唱]~파천황[破天荒]~파체서[破軆書]~파투[巴渝] 2160
190 가매[假寐]~가명사가인[佳茗似佳人]~가명인세[假名因勢]~가모[家母]~가모[加耗] 2158
189 한사[寒士]~한사마[韓司馬]~한사사[漢使槎]~한사진동[漢士秦童] 2155
188 파파[派派]~파행[跛行]~파협원명[巴峽猿鳴]~파호위준[破瓠爲樽] 2152
187 할계[割雞]~할계우도[割鷄牛刀]~할고충복[割股充腹]~할관체[鶡冠體 2142
186 호가[壺歌]~호가박[胡笳拍]~호가행[浩歌行]~호가호위[狐假虎威] 2139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