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합고[合考]~합관요[篕寬饒]~합구초[合口椒]~합근[合巹]~합덕[合德]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51  

[] 오왕(吳王) 합려. 춘추시대의 오()나라 왕의 이름이다. 월왕 구천과 싸우다가 다쳐 죽었다.

합고[合考] 시관(試官)들이 모여 앉아, 뽑아 올린 시권(試卷)을 다시 고교(考較)하여 분류해서 입격(入格)과 낙제를 결정하는 일을 이른다.

합관요[篕寬饒] 합관요는 한 선제(漢宣帝) 때 사람인데 성격은 강직하였으나 인색하고 남을 해치기를 좋아하다가 남의 원망을 얻어 옥리(獄吏)에게 잡혀가서 죽었다. 그가 일찍이 평은후(平恩侯) 허백(許伯)에게 나에게 술을 많이 권하지 마오. 나는 술에 미쳤으니 그대는 경계하라.”라고 했다. <漢書 卷七十七>

합구초[合口椒] 사헌부의 감찰(監察)을 이름. () 나라 때에 법관의 직무를 산초(山椒)의 독()이 있는 것에 비유하여, 감찰어사(監察御史)이행사(裏行使)를 합구초(合口椒)라 하고, 감찰을 개구초라 호칭한 데서 온 말인데, 합구초는 가장 독이 많음을 뜻하고, 개구초는 독이 약간 덜함을 뜻한다. <封氏聞見記 風憲>

합궁[合宮] 문선(文選) ()황제(皇帝)의 명당(明堂)은 풀로 덮어서 이름을 합궁이라 하고 순()의 명당은 풀로 덮어서 이름은 총장(總章)이라 하였다.” 하였다.두보의 시에 香飄合殿春風轉의 구가 보인다.

합근[合巹] 바가지를 합한다는 것은 혼례 때에 신랑, 신부가 술잔을 세 번 교환하면서 끝잔은 한 개의 박을 둘로 나눈 잔으로 하는 것을 말하는데, 근례(巹禮)라고도 한다.

합덕[合德] () 나라 미녀(美女)의 이름이다. 조비연(趙飛燕)의 여동생으로 성제(成帝)의 총애를 받았는데, 그 살결이 매끄럽고 향 냄새가 났다고 한다. <趙飛燕外傳>

 

 



번호 제     목 조회
149 호중세월[壺中歲月]~호중천지[壺中天地]~호중한[壺中閒] 1870
148 혼가필[婚嫁畢]~혼경위[混涇渭]~혼돈개벽[混沌開闢]~혼돈사[混沌死] 1860
147 팔교[八敎]~팔극[八極]~팔기[八旗]~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 1859
146 가섭미소[伽葉微笑]~가섭염화[迦葉拈花]~가섭진종[迦葉眞宗] 1856
145 합고[合考]~합관요[篕寬饒]~합구초[合口椒]~합근[合巹]~합덕[合德] 1852
144 항왕목중동[項王目重瞳]~항요[恒曜]~항장검무[項莊劒舞]~항주소일[杭州消日] 1849
143 합좌[合坐]~합패여건도[合佩呂虔刀]~합포주[合浦珠]~합포환주[合浦還珠] 1848
142 해상도[海上桃]~해상유의[海上留衣]~해서[楷書]~해성[諧聲] 1848
141 가생수체[賈生垂涕]~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가생지통[賈生之痛] 1846
140 팔대쇠[八代衰]~팔대수[八大藪]~팔두문장[八斗文章]~팔룡운전[八龍雲篆] 1843
139 합합[溘溘]~합환전[合歡殿]~항갈[恒碣]~항남[巷南]~항룡유회[亢龍有悔] 1837
138 가부취결[可否取決]~가부희[假婦戲]~가분구원[加賁丘園]~가분급부[可分給付] 1836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