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합합[溘溘]~합환전[合歡殿]~항갈[恒碣]~항남[巷南]~항룡유회[亢龍有悔]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32  

합합[溘溘] 갑자기 들리는 물소리, 추운 모양.

합합[嗑嗑] 말이 많은 모양, 웃는 모양, 깔깔 웃는 소리.

합합[呷呷] 오리의 우는 소리.

합합[哈哈] 웃는 소리, 농담, 또는 농담함.

합환전[合歡殿] 후비(后妃)가 거처하는 궁전을 말한다.

항간[行間] 항오(行伍)의 사이라는 뜻이니, 즉 군중(軍中)이라는 말이다.

항갈[恒碣] ()은 산서성(山西省) 영구현(靈邱縣)의 남쪽에 있는 항산(恒山)을 말하고, ()은 직례성(直隷省) 동남쪽에 있는 갈석(碣石)을 말한다.

항기궁자미[恒飢窮子美] 두보(杜甫). 그의 시에 항상 굶은 어린 자식 안색이 처량하다.[恒飢稚子色凄凉]”라고 한 것이 있다.

항남[巷南] 항남은 죽림칠현(竹林七賢)인 완적(阮籍)과 그 조카 완함(阮咸)이 살던 가난한 남쪽 동네로, 숙질간의 관계를 비유할 때 흔히 쓰는 표현이다. <世說新語 任誕>

항두득고서[航頭得古書] 동진(東晉) 때 매색(梅賾)이 큰 뱃머리[大航頭]에서 고문상서(古文尙書)를 얻었다 한다.

항룡유회[亢龍有悔] 항룡(亢龍)은 하늘 끝까지 올라간 용. 그 이상 더 올라갈 수 없어 이젠 내려갈 도리밖에 없다는 의미. 부귀가 극에 달하면 패망할 위험이 있으니 조심하라는 말로 쓰인다.

 

 



번호 제     목 조회
149 황도[黃圖]~황도[黃道]~황도일[黃道日]~황독[黃獨]~황두랑[黃頭郞] 1961
148 호중세월[壺中歲月]~호중천지[壺中天地]~호중한[壺中閒] 1960
147 가둔[嘉遯]~가등[賈鄧]~가라수[加羅守]~가락[嘉樂]~가락시[假樂詩] 1956
146 가서백란[佳婿伯鸞]~가서수동관[哥舒守潼關]~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 1955
145 항사[項斯]~항사[恒沙]~항산[恒産]~항산사[恒山蛇]~항산항심[恒産恒心] 1950
144 합고[合考]~합관요[篕寬饒]~합구초[合口椒]~합근[合巹]~합덕[合德] 1949
143 형여[荊廬]~형역[形役]~형옥[荊玉]~형인[衡人]~형인양월[荊人兩刖] 1948
142 화정[和靖]~화정사녹[和靖辭祿]~화정지학[華亭之鶴]~화정학려[華亭鶴唳] 1942
141 팔교[八敎]~팔극[八極]~팔기[八旗]~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 1940
140 가목[假牧]~가목가[稼牧家]~가묘[假廟]~가묘사당[家廟祠堂] 1940
139 가부취결[可否取決]~가부희[假婦戲]~가분구원[加賁丘園]~가분급부[可分給付] 1936
138 가불매조[呵佛罵祖]~가불원[柯不遠]~가비[家備]~가비옥이봉[可比屋而封] 1935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