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협탄[鋏彈]~협파개[愜爬疥]~협협[歙歙]~협협균박새[挾筴均博塞]~형[荊]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06  

협탄[鋏彈] 전국(戰國) 때 제() 나라 맹상군(孟嘗君)의 문객(門客) 풍환(馮驩)이 제 빈궁한 신세를 탄식하며, ()의 손잡이[]를 타면서 노래하기를 긴 칼아, 돌아갈지로다. 밥먹을 제 생선도 없네.”라고 하였다.

협파개[愜爬疥] 한유(韓愈)의 시에 번거로움을 덞이 종기를 째는 것 같아라. 옴 오른 데를 긁듯이 정말 기분이 시원하다네.[祛煩類決癰 愜興劇爬疥]”라고 하였다.

협협[悏悏] 두려워서 숨을 죽이는 모양.

협협[浹浹] 축축하게 젖는 모양.

협협[歙歙] 두려워하는 모양.

협협균박새[挾筴均博塞] ()과 곡() 두 사람이 양을 먹이다가 둘 다 양을 잃었는데, 장은 책을 들고 독서에 여념이 없었고, 곡은 도박을 즐기고 놀았다. <莊子 騈拇>

[] 우공구주(禹貢九州)의 하나. 지금의 호남(湖南)의 땅. ()하여 초()나라의 땅을 이른다.

[] 원래 초나라는 지금의 호북성 형주시에 있었다. 기원전 278년 진나라 소양왕(昭襄王) 때 백기(白起)의 침입에 의해 도성을 뺏기고 지금의 하나성 진현(陳縣)으로 나라를 옮겼다가 다시 지금의 안휘성 수현(壽縣)으로 옮겼다. 지금의 호북성 형주시에 있었던 옛날의 초나라 땅을 형()이라 하고 초나라가 새로 옮겨 간 수현(壽縣) 일대를 초()라고 명명한 것이다. 항우(項羽)는 팽성(彭城) 즉 지금의 안휘성 서주시(徐州市)에 도읍을 새우고 초나라라고 명명했다.

[] 지금의 하남성 온현(溫縣) 동쪽의 형구(邢丘)를 말한다.

[] 형은 선기옥형(璿璣玉衡)으로서 천문 관측 기구이다. <書經 虞書 舜典>

 

 



번호 제     목 조회
125 합합[溘溘]~합환전[合歡殿]~항갈[恒碣]~항남[巷南]~항룡유회[亢龍有悔] 2023
124 혜중산[嵇中散]~혜초[蕙草]~혜혜[嘒嘒]~혜홍[惠洪]~혜화[蕙華] 2021
123 호상락[濠上樂]~호섭수 유기미[狐涉水 濡其尾]~호생[好生]~호성[鄗城] 2020
122 형창설안[螢窓雪案]~형처[荊妻]~형해득실[形骸得失]~형형[泂泂] 2016
121 형고[滎皐]~형극동타영[荊棘銅駝影]~형낭독서자[螢囊讀書子]~형담창화[荊潭唱和] 2014
120 화류[花柳]~화륜[火輪]~화문[花門]~화미구미[畫眉求媚]~화발치진[華髮緇塵] 2014
119 화호각곡[畫虎刻鵠]~화호로[畫葫蘆]~화호유구[畵虎類狗]~화홍옥백[花紅玉白] 2014
118 혜고[蟪蛄]~혜공삭[惠公朔]~혜공상[惠公喪]~혜기[惠氣]~혜능[惠能] 2011
117 가반[加頒]~가배지법[加倍之法]~가배회소곡[嘉俳會蘇曲]~가벌[家閥]~가벽[加璧] 2008
116 협탄[鋏彈]~협파개[愜爬疥]~협협[歙歙]~협협균박새[挾筴均博塞]~형[荊] 2007
115 가부가[柯斧歌]~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가부상제[可否相濟] 2007
114 가설작라[可設雀羅]~가섭[迦葉]~가섭[假攝]~가섭국[迦葉國] 2007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