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형가[亨嘉]~형가[荊軻]~형갱[鉶羹]~형경[荊卿]~형경분월계[衡鏡分月桂]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96  

형가[亨嘉] () 건괘(乾卦)형은 훌륭한 사람들의 모임이다.[亨者 嘉之會也]”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서 우수한 인물들이 일시에 성대하게 모이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형가[荊軻] 형가는 전국 때 제() 나라 사람. 연 태자(燕太子) ()을 위하여 진시황(秦始皇)을 죽이려 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음을 당하였다. 연태자가 진시황을 죽이려고 자객(刺客) 형가를 보내며, 신물(信物)로 독항(督亢) 땅을 바치겠다고 지도(地圖)를 함에 넣어 보내었는데, 형가가 지도 밑에 감추었던 비수(匕首)로 진시황을 찌르려다가 실패하자, 진시황이 크게 노하여 연나라를 쳐서 멸하였다.

형강[荊江] 형강은 금강(錦江)의 별칭이다.

형갱[鉶羹] 형갱은 경건하게 차린 제사 음식을 뜻한다.

형경[荊卿] 형경은 진시황(秦始皇)을 암살하려 했던 자객 형가(荊軻)의 존칭인데, 진시황(秦始皇)의 녹로검(鹿盧劍)에 오히려 죽임을 당하였다. 도연명집(陶淵明集) 4권에 영형가(詠荊軻)라는 오언시(五言詩)가 전한다.

형경분월계[衡鏡分月桂] 형경(衡鏡)은 과거에서 인재를 뽑기를 저울과 거울처럼 평()하고 밝게 한다는 것이며, 월계는 과거에 오르는 것을 달 가운데 계수꽃을 꺾는 데 비한다.

형경전[荊卿傳] 형경은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자객(刺客) 형가(荊軻)를 말하며, 그의 전은 사기(史記) 자객열전(刺客列傳)에 보인다.

 

 



번호 제     목 조회
173 해낭[奚囊]~해노습득[奚奴拾得]~해당부인[海棠夫人]~해당시[海棠詩]~해대[海岱] 2104
172 호계별[虎溪別]~호계삼소[虎溪三笑]~호계평류[瓠繫萍流]~호관친림[虎觀親臨] 2104
171 해제천규[海帝穿竅]~해조[海棗]~해조[解絛]~해조문[解嘲文]~해조음[海潮音] 2103
170 파자국[巴子國]~파적[破的]~파주위선[把酒爲船]~파죽지세[破竹之勢] 2102
169 한로[韓盧]~한록사[韓錄事]~한롱적[韓隴笛]~한륙견척[韓陸見斥] 2102
168 판향[瓣香]~판향배[瓣香拜]~팔개[八凱]~팔결문[八結文] 2101
167 해약[海若]~해양[海陽]~해어화[解語花]~해엽점[薤葉簟] 2101
166 가비옥이주[可比屋而誅]~가빈감환졸[家貧甘宦拙]~가빈사양처[家貧思良妻] 2098
165 형가[亨嘉]~형가[荊軻]~형갱[鉶羹]~형경[荊卿]~형경분월계[衡鏡分月桂] 2097
164 한언환[韓嫣丸]~한예용라[漢隷龍拏]~한와당[漢瓦當]~한우충동[汗牛充棟] 2096
163 가서백란[佳婿伯鸞]~가서수동관[哥舒守潼關]~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 2093
162 함서[緘書]~함소[咸韶]~함소리[含消梨]~함우주주[銜羽周周] 2092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