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형창설안[螢窓雪案]~형처[荊妻]~형해득실[形骸得失]~형형[泂泂]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14  

형창[螢窓] 형창은 진() 나라 때 차윤(車胤)이 밤에 개똥불을 모아서 그 빛을 이용하여 글을 읽으며 고학(苦學)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서재를 말하기도 한다.

형창설안[螢窓雪案] 중국 진()나라 차윤(車胤)이 반딧불로 글을 읽고, 손강(孫康)이 눈빛으로 글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하여 갖은 고생을 하며 꾸준히 학문을 닦은 공을 이름을 이른다.

형처[荊妻] 남에게 자기 아내를 낮추어 일컫는 말이다.

형초[荊楚]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

형피수돈[形疲瘦頓] 몸이 피곤하고, 마르고 초췌하다.

형해구이망[形骸久已忘] 우정(友情)이 매우 친밀하여 자기의 형체도 잊어버리고 한 마음 한 뜻이 되는 것을 말한다.

형해득실[形骸得失] 형해를 벗어나는 것은 불교의 유심론(唯心論)의 진리를, 득실을 하나로 본다는 것은 모든 사물을 도()의 본체에서 보면 하나같이 같다는 노장(老莊)의 설을 각각 상징하고 있다.

형해자소혜중산[形骸自笑嵇中散] 육신에 대한 집착을 멀리 떠난 사람이라는 뜻이다. 혜 중산(嵇中散)은 진() 나라 때 중산대부(中散大夫)에 임명되었던 혜강(嵇康)으로, 일찍이 양생론(養生論)을 지었으며 직접 연단(鍊丹)을 하기도 하였다. <晉書 卷49>

형형[泂泂] 물이 맑고 깊은 모양.

 

 



번호 제     목 조회
125 합합[溘溘]~합환전[合歡殿]~항갈[恒碣]~항남[巷南]~항룡유회[亢龍有悔] 2022
124 혜중산[嵇中散]~혜초[蕙草]~혜혜[嘒嘒]~혜홍[惠洪]~혜화[蕙華] 2019
123 호상락[濠上樂]~호섭수 유기미[狐涉水 濡其尾]~호생[好生]~호성[鄗城] 2019
122 형창설안[螢窓雪案]~형처[荊妻]~형해득실[形骸得失]~형형[泂泂] 2015
121 형고[滎皐]~형극동타영[荊棘銅駝影]~형낭독서자[螢囊讀書子]~형담창화[荊潭唱和] 2012
120 화호각곡[畫虎刻鵠]~화호로[畫葫蘆]~화호유구[畵虎類狗]~화홍옥백[花紅玉白] 2011
119 화류[花柳]~화륜[火輪]~화문[花門]~화미구미[畫眉求媚]~화발치진[華髮緇塵] 2010
118 혜고[蟪蛄]~혜공삭[惠公朔]~혜공상[惠公喪]~혜기[惠氣]~혜능[惠能] 2009
117 가반[加頒]~가배지법[加倍之法]~가배회소곡[嘉俳會蘇曲]~가벌[家閥]~가벽[加璧] 2006
116 항아계수[姮娥桂樹]~항아분월[嫦娥奔月]~항액[亢軛]~항영[項嬰] 2005
115 협탄[鋏彈]~협파개[愜爬疥]~협협[歙歙]~협협균박새[挾筴均博塞]~형[荊] 2005
114 가부가[柯斧歌]~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가부상제[可否相濟] 2005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