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호량[濠梁]~호량유[濠梁游]~호려[虎旅]~호련기[瑚璉器]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300  

호량[濠梁] 안휘성(安徽省) 봉양현(鳳陽縣)에 있는 호수(濠水)의 가교(架橋)이다. 옛날 장자(莊子)가 자기 친구인 혜자(惠子)와 함께 호량에서 노닐면서 물고기의 낙()에 대하여 서로 얘기를 나누었던 데서 온 말로, 즉 친구들끼리 물가에서 노닒을 비유한 것이다. <莊子 秋水>

호량변[濠梁辨]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 장자와 혜자(惠子)가 호량(濠梁)의 강 위에서 어락(魚樂)에 대해 서로 논쟁한 것을 이른다.

호량유[濠梁游] 친한 벗끼리 둘이 만나 노닒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莊子)가 자기 친구인 혜자(惠子)와 함께 호수(濠水)의 다리에 앉아 물고기를 구경하며 노닐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秋水>

호려[虎旅] 호분(虎賁)과 여분(旅賁)으로, 즉 위사(衛士)를 가리킨다.

호련[瑚璉] ()와 연()은 모두 고대에 종묘(宗廟)에서 서직(黍稷)을 담던 소중한 제기(祭器)로서, 그 귀중함으로 인해 큰 임무를 감당할 만한 재능을 소유한 자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자공이 묻기를 저는 어떠한 그릇입니까?’ 하자, 공자가 이르기를 너는 호련이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호련기[瑚璉器] 호련(瑚璉)은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기장을 담아 바치는 중요한 제기로써 품격이 높은 사람 또는 훌륭한 인재를 이른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자공(子貢)저는 어떻습니까?’라고 하니, 공자가 너는 그릇이다.’라고 하였다.’무슨 그릇입니까?’라고 하니, ‘호련이다라고 하였다.[子貢問曰 賜何如 子曰 汝器也 曰 何器也 曰 瑚璉也]”고 하였다.

호령[狐嶺] 남태령의 별칭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61 가고가하[可高可下]~가고분[歌叩盆]~가곡[歌哭]~가공[加功]~가공언[賈公彦] 1270
5260 할마[瞎馬]~할목무전[割目無全]~할육충복[割肉充腹]~함계설향[含雞舌香] 1272
5259 한대[漢臺]~한도혜왕[韓悼惠王]~한랑설리파[韓郞雪裏葩] 1273
5258 함곡관[函谷關]~함공[緘供]~함관자기[函關紫氣] 1278
5257 횡사[橫斜]~횡사[黌舍]~횡사곡직[橫斜曲直]~횡삭부시[橫槊賦詩] 1285
5256 가반[加頒]~가배지법[加倍之法]~가배회소곡[嘉俳會蘇曲]~가벌[家閥]~가벽[加璧] 1285
5255 화후[火候]~화훈[華勛]~화흡[化洽]~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확삭옹[矍鑠翁] 1286
5254 한제음풍[漢帝吟風]~한제폐북관[漢帝閉北關]~한주상림[漢主上林] 1288
5253 호리곡[蒿里曲]~호리애만[蒿里哀挽]~호리옥경[壺裏玉京]~호리유천[壺裏有天] 1290
5252 가도고문[賈島敲門]~가도려과[賈島驢跨]~가도멸괵[假道滅虢]~가도벽립[家徒壁立] 1291
5251 해운삼천[海運三千]~해원[解元]~해월[海月]~해위[奚爲]~해율[嶰律]~해은[偕隱] 1292
5250 한문석로대[漢文惜露臺]~한반장[漢盤掌]~한발[捍撥]~한부[恨賦] 129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