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호량[濠梁]~호량유[濠梁游]~호려[虎旅]~호련기[瑚璉器]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16  

호량[濠梁] 안휘성(安徽省) 봉양현(鳳陽縣)에 있는 호수(濠水)의 가교(架橋)이다. 옛날 장자(莊子)가 자기 친구인 혜자(惠子)와 함께 호량에서 노닐면서 물고기의 낙()에 대하여 서로 얘기를 나누었던 데서 온 말로, 즉 친구들끼리 물가에서 노닒을 비유한 것이다. <莊子 秋水>

호량변[濠梁辨]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 장자와 혜자(惠子)가 호량(濠梁)의 강 위에서 어락(魚樂)에 대해 서로 논쟁한 것을 이른다.

호량유[濠梁游] 친한 벗끼리 둘이 만나 노닒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莊子)가 자기 친구인 혜자(惠子)와 함께 호수(濠水)의 다리에 앉아 물고기를 구경하며 노닐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秋水>

호려[虎旅] 호분(虎賁)과 여분(旅賁)으로, 즉 위사(衛士)를 가리킨다.

호련[瑚璉] ()와 연()은 모두 고대에 종묘(宗廟)에서 서직(黍稷)을 담던 소중한 제기(祭器)로서, 그 귀중함으로 인해 큰 임무를 감당할 만한 재능을 소유한 자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자공이 묻기를 저는 어떠한 그릇입니까?’ 하자, 공자가 이르기를 너는 호련이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호련기[瑚璉器] 호련(瑚璉)은 종묘에 제사를 지낼 때 기장을 담아 바치는 중요한 제기로써 품격이 높은 사람 또는 훌륭한 인재를 이른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자공(子貢)저는 어떻습니까?’라고 하니, 공자가 너는 그릇이다.’라고 하였다.’무슨 그릇입니까?’라고 하니, ‘호련이다라고 하였다.[子貢問曰 賜何如 子曰 汝器也 曰 何器也 曰 瑚璉也]”고 하였다.

호령[狐嶺] 남태령의 별칭이다.

 

 



번호 제     목 조회
77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807
76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803
75 횡사[橫斜]~횡사[黌舍]~횡사곡직[橫斜曲直]~횡삭부시[橫槊賦詩] 1802
74 홍연[弘演]~홍연대소[哄然大笑]~홍엽제시[紅葉題詩]~홍우점[鴻羽漸] 1801
73 함곡관[函谷關]~함공[緘供]~함관자기[函關紫氣] 1799
72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797
71 효성왕[孝成王]~효시[嚆矢]~효아총[孝鵝塚]~효제충신[孝悌忠信]~효증[殽脀] 1796
70 황과[皇荂]~황관[黃冠]~황구요탁[黃口謠啄]~황구첨정[黃口簽丁]~황궁[黃宮] 1794
69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788
68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786
67 가대[假對]~가대부[賈大夫]~가대상가[假貸商賈]~가대인[家大人]~가덕대부[嘉德大夫] 1786
66 할마[瞎馬]~할목무전[割目無全]~할육충복[割肉充腹]~함계설향[含雞舌香] 1785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