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호로[葫蘆]~호룡도[虎龍韜]~호리[蒿里]~호리[毫釐]~호리건곤[壺裏乾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88  

호로[葫蘆] 약초의 이름인 호로파(葫蘆巴)의 준말인데, 본초(本草)에 의하면 이 약초를 의가(醫家)에서 장부(臟腑)의 허냉증(虛冷症)에 쓴다고 되어 있다.

호로[葫蘆] 호로는 당 나라 등산거(鄧山居)가 독약을 화살에 발라 짐승을 쏘았는데 그 자리에서 넘어지므로 모호로(毛葫蘆)라 하였다.

호로[葫蘆] 호로는 의양화호로(依樣畫葫蘆)의 준말로, 곧 옛사람을 본뜨기만 하고 새로운 생각을 창안해 내지 못함을 이른다. () 나라 도곡(陶穀)의 시에 가소롭다 한림 도 학사는 해마다 모양따라 호로병을 그리누나.[堪笑翰林陶學士 年年依樣葫蘆]”라고 하였다.

호룡도[虎龍韜] 병법(兵法)에 깊은 조예가 있는 것을 말한다. () 나라 여상(呂尙)이 지은 육도(六韜)라는 병서(兵書) 속에 용도(龍韜)와 호도(虎韜)의 편명이 들어 있다.

호릉[胡陵] 지금의 산동성 어대현(魚臺縣) 동남쪽이다.

호리[蒿里] 산동성(山東省)의 태산(泰山) 남쪽에 있는 산 이름이다. 옛 중국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그 혼백이 여기에 머문다고 하므로, 전하여 묘지를 뜻한다.

호리[毫釐] 호리는 극히 미세한 것을 말한다. 예기(禮記) 경해(經解)호리에서 잘못되면 천 리까지 틀려진다.[差若毫釐 繆以千里]”라고 하였다.

호리건곤[壺裏乾坤] 호리병 속에 펼쳐져 있다고 하는 신선 세계를 가리킨다.

 

 



번호 제     목 조회
5273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758
5272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759
5271 가서한[哥舒翰]~가석이참[嘉石以慙]~가선[歌扇]~가선[嘉善] 1761
5270 함곡관[函谷關]~함공[緘供]~함관자기[函關紫氣] 1766
5269 호량[濠梁]~호량유[濠梁游]~호려[虎旅]~호련기[瑚璉器] 1768
5268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769
5267 횡사[橫斜]~횡사[黌舍]~횡사곡직[橫斜曲直]~횡삭부시[橫槊賦詩] 1769
5266 가고가하[可高可下]~가고분[歌叩盆]~가곡[歌哭]~가공[加功]~가공언[賈公彦] 1777
5265 화후[火候]~화훈[華勛]~화흡[化洽]~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확삭옹[矍鑠翁] 1784
5264 팔고[八苦]~팔공[八公]~팔관[八關]~팔괘[八卦]~팔굉[八紘] 1785
5263 호로[葫蘆]~호룡도[虎龍韜]~호리[蒿里]~호리[毫釐]~호리건곤[壺裏乾坤] 1789
5262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179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