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33  

화하도[花下倒] 대단히 취한 것을 이른다. 이백(李白)의 양양가(襄陽歌)석양은 현산의 서쪽으로 지려 하는데 흰 두건 거꾸로 쓰고 꽃 아래서 방황하네.[落日欲沒峴山西 倒着捷罹花下迷]”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李太白集 卷六>

화학[化鶴] 화학은 학으로 변한 사람. () 나라 때 요동에 사는 정령위(丁令威)가 도술을 배워 신선이 되었는데 천년이 지난 뒤에 학으로 변하여 그의 고향인 요동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搜神後記 卷一>

화헌[華軒] 높은 벼슬아치가 타는 수레를 말한다. 초헌(招軒).

화현[花縣] ()의 소재지를 아름답게 일컫는 말이다. () 나라 하양 영(河陽令) 반악(潘岳)이 고을 안에 온통 도리(桃李)를 심었으므로 하양일현화(河陽一縣花)’라는 말이 생겨났던 데에서 기인한 것이다. <白氏六帖 卷21>

화협훈[華協勛] ()임금의 일명은 중화(重華). ()임금의 일명은 방훈(放勛)이다. 서경(書經) 순전(舜典)중화가 제에게 협화하였다.[重華協予帝]”라고 하였다.

화형[花形] 화형은 풍수설에서 산수(山水)의 발맥(發脈).

 

 



번호 제     목 조회
5273 함곡관[函谷關]~함공[緘供]~함관자기[函關紫氣] 1799
5272 홍연[弘演]~홍연대소[哄然大笑]~홍엽제시[紅葉題詩]~홍우점[鴻羽漸] 1801
5271 횡사[橫斜]~횡사[黌舍]~횡사곡직[橫斜曲直]~횡삭부시[橫槊賦詩] 1802
5270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802
5269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806
5268 팔고[八苦]~팔공[八公]~팔관[八關]~팔괘[八卦]~팔굉[八紘] 1809
5267 가서한[哥舒翰]~가석이참[嘉石以慙]~가선[歌扇]~가선[嘉善] 1810
5266 호량[濠梁]~호량유[濠梁游]~호려[虎旅]~호련기[瑚璉器] 1815
5265 가고가하[可高可下]~가고분[歌叩盆]~가곡[歌哭]~가공[加功]~가공언[賈公彦] 1815
5264 화후[火候]~화훈[華勛]~화흡[化洽]~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확삭옹[矍鑠翁] 1819
5263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1834
5262 한대[漢臺]~한도혜왕[韓悼惠王]~한랑설리파[韓郞雪裏葩] 183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