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황간[黃幹]~황감동정[黃柑洞庭]~황강[黃崗]~황강고사[黃崗故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25  

황간[黃幹] 황간은 주희(朱熹)의 사위이며 고제(高弟)로서 호는 면재(勉齋)이다. 주희가 일찍이 예서(禮書)를 편찬하였다가 상례(喪禮제례(祭禮) 두 편을 황간에게 맡겨 이를 완성하게 하였으며, 임종시에 그에게 도통(道統)을 전했다. <宋史 卷四百三十>

황감[黃甘] 황감은 황감(黃柑)과 같은 것으로 밀감을 이른다.

황감동정[黃柑洞庭] 황감(黃柑)은 동정(洞庭)에서 나는 것이 유명하다.

황감저작[黃甘抵鵲] 중원(中原)에서는 귀중히 여기는 것을 변방에서는 천히 여긴다는 뜻이다. 곤산(昆山)의 곁에서는 옥이 흔한 때문에 옥박(玉璞)을 까마귀나 까치에게 던져준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황갑[黃甲] 과거(科擧)의 갑과(甲科)에 급제한 사람을 이른다. 갑과 급제자의 명단(名單)은 특히 황지(黃紙)에 썼던 데서 온 말이다.

황강[黃崗] 일명 황강(黃岡)으로, 유배지(流配地)를 뜻하는 말이다. () 나라 신종(神宗) 원풍(元豐) 5(1082) 즉 적벽부(赤壁賦)를 짓게 된 임술년(壬戌年)에 소동파(蘇東坡)가 그곳으로 귀양을 갔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황강[黃岡] 황주(黃州)의 별칭이다.

황강고사[黃崗故事] () 나라 신종(神宗) 원풍(元豐) 연간에 소동파(蘇東坡)가 황강(黃崗)에 귀양갔을 때 그의 아우 자유(子由)도 균주(筠州)로 좌천되어 내려왔으므로 오랜만에 해후하여 함께 노닌 고사가 있는데, 소동파의 감구시(感舊詩) 서문에 그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蘇東坡詩集 卷33>

 

 



번호 제     목 조회
4937 천룡일지[天龍一指] ~ 천루간화[濺淚看花] ~ 천리구[千里駒] 2604
4936 탕한[湯旱]~탕확[湯鑊]~탕휴[湯休]~태갑[太甲] 2604
4935 천교목[遷喬木] ~ 천교쇄경핵[遷喬刷勁翮] ~ 천구영독윤[天球暎櫝潤] 2606
4934 호사다마[好事多魔]~호사수구[狐死首丘]~호사유피[虎死留皮]~호사휴호지[好事携壺至] 2607
4933 청리첩[靑李帖] ~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 청몽승저[淸夢乘軧] 2609
4932 체용리[體用離] ~ 체원삼화육[體元參化育] ~ 체화승악[棣華承萼] 2609
4931 천미[川媚] ~ 천방[千房] ~ 천벽분등[穿壁分燈] 2610
4930 답가[踏歌] ~ 답렵[踏獵] ~ 답습[踏襲] 2615
4929 우산사양[牛山斜陽] ~ 우산석휘비[牛山夕暉悲] ~ 우산성리[雨散星離] 2615
4928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616
4927 징칙[徵則] ~ 징하례[徵夏禮] ~ 차공하사작무다[次公何事酌無多] 2618
4926 마경[馬卿] ~ 마경가[馬卿家] ~ 마경유공[馬卿遊邛] 262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