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황과[皇荂]~황관[黃冠]~황구요탁[黃口謠啄]~황구첨정[黃口簽丁]~황궁[黃宮]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240  

황과[皇荂] 옛날 가곡 이름이다. <莊子 天地>

황관[黃冠] 농부의 관. 도사(道士)가 쓰는 관. 전하여 도사를 지칭하기도 한다. 예기(禮記) 교특생(郊特牲)농부는 황관을 쓰는데, 황관은 풀로 만든 것이다.”라고 하였다.

황관귀경호[黃冠歸鏡湖] 황관은 도사(道士)의 관인데, () 나라 때 하지장(賀知章)이 만년에 벼슬을 그만두고 도사가 되어 임금으로부터 경호(鏡湖) 한 굽이를 하사받아 그 곳으로 가서 은거했던 데서 온 말이다. <唐書 卷一百九十六>

황구소아[黃口小兒] 어린 아이라는 뜻으로, 참새 새끼의 황색 주둥이(黃口)에서 연유한 말이다.

황구아[黃口兒] 참새의 새끼를 말한다.

황구요탁[黃口謠啄] 악부시집(樂府詩集) 맹호행(猛虎行)배고파도 맹호에게 붙여 먹지 않고 해 저물어도 참새에게 붙여 깃들이지 않는다.”라고 했는데, 자신의 청렴하지 못함을 이들도 싫어한다는 겸사로 인용한 듯하다.

황구첨정[黃口簽丁] 어린아이를 장정으로 군적(軍籍; 군인 명부)에 올림. 어린아이도 장정으로 군적에 올려 세금을 착취하던 조선말 탐관오리들의 횡포. 황구(黃口)는 새 새끼의 입이 노랗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어린아이를 이른다.

황궁[黃宮] 도가(道家)의 말로 머리[腦頂]를 이른다.

 

 



번호 제     목 조회
77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245
76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241
75 황과[皇荂]~황관[黃冠]~황구요탁[黃口謠啄]~황구첨정[黃口簽丁]~황궁[黃宮] 1241
74 호도격주[號咷擊柱]~호두[虎頭]~호두[鄠杜]~호두전신[虎頭傳神] 1240
73 호증[胡曾]~호지원[胡地怨]~호천[壺天]~호천망극[昊天罔極] 1240
72 홍곡[鴻鵠]~홍관일[虹貫日]~홍교[虹橋]~홍구[鴻溝]~홍군[紅裙] 1239
71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1239
70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220
69 가마[珂馬]~가마[賈馬]~가마[加麻]~가망[加望] 1216
68 환저기[環滁記]~환정[宦情]~환주[環柱]~환중[環中]~환체[換遞]~환추[豢芻] 1213
67 황사[黃沙]~황사랑[黃四娘]~황산곡[黃山谷]~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1212
66 화시[華始]~화식[火食]~화식전[貨殖傳]~화신풍[花信風]~화씨박[和氏璞] 1211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