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획획[㦎㦎]~횡거[橫渠]~횡경표맥[橫經漂麥]~횡금[橫金]~횡당[橫塘]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52  

획획[㦎㦎] 괴려한 모양. 사리에 어그러져 온당하지 아니한 모양. 완고한 모양.

횡거[橫渠] 횡거는 송() 나라 장재(張載)의 호인데, 그의 마음 수양하던 대략이 그가 저술한 서명(西銘동명(東銘)에 나타나 있다. 장재는 57세 때 여대방(呂大防)의 천거로 지태상예원(知太常禮院)이 되었다가 유사(有司)와 뜻이 맞지 않아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오다가 중도에서 병으로 죽었다. <宋史 卷四百二十七 張載傳>

횡경표맥[橫經漂麥] () 나라 때 사람 고봉(高鳳)이 한 번은 아내가 밭에 가면서 보리를 마당에 널어놓고, 그에게 닭을 보라고 부탁하였는데, 마침 비가 와서 보리 멍석이 떠내려갔으나 그는 그런 줄도 모르고 장대만 들고 글을 읽었다고 한다. <後漢書 卷一百十三>

횡금[橫金] 금어선화대(金御仙花帶)에 어부(魚符)는 차지 않는 것을 말한다. 한편 한림학사 이상 정상서(正尙書)들이 금어선화대에 어부까지 차는 것은 중금(重金)이라고 한다. <容齋四筆 仕官捷疾> 어부(魚符) 없이 금어선화대(金御仙花帶)만 차는 것으로, 직학사(直學士정시랑(正侍郞급사중(給事中) 등이 패용하였다.

횡당[橫塘] 남경(南京)의 서남쪽 강구(江口)의 둑[] 이름이다.

 

 



번호 제     목 조회
197 파창[巴唱]~파천황[破天荒]~파체서[破軆書]~파투[巴渝] 2058
196 한사[寒士]~한사마[韓司馬]~한사사[漢使槎]~한사진동[漢士秦童] 2058
195 한유[韓柳]~한유[韓愈]~한음[漢陰]~한음기심[漢陰機心] 2057
194 획획[㦎㦎]~횡거[橫渠]~횡경표맥[橫經漂麥]~횡금[橫金]~횡당[橫塘] 2053
193 할계[割雞]~할계우도[割鷄牛刀]~할고충복[割股充腹]~할관체[鶡冠體 2052
192 파파[派派]~파행[跛行]~파협원명[巴峽猿鳴]~파호위준[破瓠爲樽] 2051
191 호문[互文]~호미[狐媚]~호박가[胡拍笳]~호배[虎拜]~호백구[狐白裘] 2050
190 황권[黃卷]~황극[皇極]~황금대[黃金臺]~황금압[黃金鴨]~황기[黃綺] 2045
189 해라[海螺]~해란[陔蘭]~해랑[奚囊]~해로가[薤露歌] 2041
188 가매[假寐]~가명사가인[佳茗似佳人]~가명인세[假名因勢]~가모[家母]~가모[加耗] 2040
187 호가[壺歌]~호가박[胡笳拍]~호가행[浩歌行]~호가호위[狐假虎威] 2037
186 호우호마[呼牛呼馬]~호원감목[胡元監牧]~호원지리[胡苑之利]~호월고풍[壺月高風] 2031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