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각고[架閣庫]~가거[家居]~가거식육[駕車食肉]~가거정묘[家居丁卯]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64  

가각고[架閣庫] 연려실기술 별집(練藜室記述別集) 6 관직전고(官職典故)에 의하면, 가각고는 조선 태조 때 의정부 안에 설치하여 수교(受敎)와 대신들의 수의(收議), ()()의 긴요한 문서들을 모두 간직해 두고 상고할 수 있게 한 기구이다. 그리고 승정원일기의 효종영조 때 기사에 가각고에 관한 내용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아 뒤에까지 계속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가감승제[加減乘除] 사칙으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가개화[可開花] 꽃을 피울 만하다.

가거[家居] 는 쌓아 둠[]이다.

가거[家居] 시집갈 나이가 지난 처녀가 결혼하지 아니하고 부모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다.

가거[家居] 집에서 생활한다는 말이다. 관직이 없이 집안에 거처하는 것이다. 벼슬을 그만두었음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가거식육[駕車食肉] 수레 타고 고기 먹는다는 뜻으로, 부귀(富貴)를 비유한 말이다.

가거정묘[家居丁卯] () 나라 원부(元裒)가 수운(水運)을 위해 다리 놓기를 청한 결과, 정묘일(丁卯日)에 왕의 허가가 내렸으므로 이 다리를 정묘교(丁卯橋)라 하였다. () 나라 때 시인 허혼(許渾)이 별장을 그곳에 짓고 귀정묘항(歸丁卯港)’이라는 시를 지었다.

 

 



번호 제     목 조회
5309 효표론[孝標論]~효회호음[鴞懷好音]~효효[囂囂]~효휴애일[孝虧愛日] 1663
5308 혼탈무[渾脫舞]~혼혼[渾渾]~혼혼[惛惛]~홀만상[笏滿牀] 1664
5307 가각고[架閣庫]~가거[家居]~가거식육[駕車食肉]~가거정묘[家居丁卯] 1665
5306 황복[荒服]~황봉주[黃封酒]~황분[皇墳]~황비자달[黃扉紫闥]~황비피현[黃扉避賢] 1677
5305 홍이포[紅夷砲]~홍익인간[弘益人間]~홍일점[紅一點]~홍자[紅紫] 1681
5304 호조비화[好鳥飛花]~호주두목[湖州杜牧]~호중구화운[壺中九華韻] 1685
5303 홍수[紅袖]~홍시[鴻視]~홍아[紅牙]~홍안선왕[鴻鴈宣王] 1685
5302 호손입낭[胡孫入囊]~호수[狐首]~호수[湖叟]~호수매치[胡首埋置] 1688
5301 홍라기성[紅羅記姓]~홍려시[鴻臚寺]~홍련막[紅蓮幕] 1692
5300 가란[柯爛]~가람[岢嵐]~가람[伽藍]~가랑선[賈浪仙]~가래모[歌來暮] 1701
5299 혹세무민[惑世誣民]~혹약[或躍]~혹자의봉사[或自疑封事]~혹혹[掝掝] 1702
5298 함구묘중인[緘口廟中人]~함궐[銜橛]~함금[緘金]~함노안[銜蘆雁] 170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