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릉[嘉陵]~가릉[歌菱]~가릉강[嘉陵江]~가릉빈가[迦陵頻伽]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92  

가릉[嘉陵] 경기도 가평을 가리킨다.

가릉[歌菱] 마름을 따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남조(南朝) 포조(鮑照)의 채릉가(採菱歌)맑은 한수 남쪽에서 능가를 부른다.[菱歌淸漢南]”라고 하였다.

가릉[迦陵] 불교의 전설 속에 나오는 좋은 소리를 내는 새의 이름으로, 범어(梵語) kalavinka의 음역(音譯)이다. 정법염처경(正法念處經) 관천품(觀天品)가릉빈가(迦陵頻伽)는 그 소리가 아름답고 묘하여 파구조(婆求鳥)의 소리와 같아 대중들이 듣고는 좋아하는데, 허공중으로 날아올라 스스로 즐긴다.”라고 하였다. 부처의 교리를 전파하는 승()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가릉강[嘉陵江] 개원(開元)은 당나라 현종(玄宗) 전반기의 연호이다. 현종이 어느 날 갑자기 촉도(蜀道)의 가릉강(嘉陵江) 산수가 몹시 생각나서 당시 이름난 화가였던 오도현(吳道玄)에게 명하여 즉시 달려가서 가릉강의 산수를 그려 오게 했다. 오도현이 다녀와서 아뢰기를 신은 그림을 그려 오지는 못했고, 모든 경치를 마음속에 기억해 왔습니다.”라고 하므로, 그를 대동전(大同殿)으로 보내어 그리게 한 결과, 가릉강 3백여 리의 산수를 하루에 다 그려 냈다고 한다. <山堂肆考 卷166>

가릉군[嘉陵郡] 지금 가평군의 조선 시대 이름이다.

가릉빈가[迦陵頻伽] 불경(佛經)에 나오는 상상(想像)의 새이다. 히말라야 산에 사는 데 소리가 곱기로 유명(有名)하다. 또 극락(極樂) 정토에 깃들며, 사람의 머리에 새의 몸 모양을 하고 있다 한다. 옛날에 동양(東洋)에서 이 새를 천사가 날아가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그린 것은 그 소리가 고운 것을 이상화(理想化)하여 모양의 아름다움으로 형태화(形態化)한 것이다. 인도(印度)에서 나는 소리가 곱고 깃이 아름다운 불불(bulbul)’새를 이르기도 한다.

가릉빈가[迦陵頻伽] 불교에서 나오는 극락정토에 있다고 일컬어지는 상상의 새로서 머리는 미녀의 얼굴 모습에 목소리는 들어서 싫증나지 않는 아름다운 목청을 가지고 있으며 용의 꼬리가 달린 극락정토에 산다는 새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117 혜안[慧眼]~혜양[蕙纕]~혜완[嵇阮]~혜요[彗妖]~혜원유[惠遠遊] 2230
5116 가생가도[賈生賈島]~가생기복[賈生忌鵩]~가생비고[賈生非辜] 2230
5115 함제[含睇]~함지[咸池]~함지욕일[咸池浴日]~함체[陷滯] 2235
5114 포옥삼련월[抱玉三連刖]~포옹[逋翁]~포옹구망구[抱瓮久忘劬] 2237
5113 탁사[托社] ~ 탁세편편[濁世翩翩] ~ 탁심장[濯心腸] ~ 탁약한회[橐籥寒灰] 2241
5112 한항금속[寒缸金粟]~한해[瀚海]~한해소조[韓海蘇潮]~한헌제[漢獻帝] 2241
5111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친라올군[親羅兀軍]~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 2247
5110 황유[黃楡]~황의[黃衣]~황유백초[黃楡白草]~황이[黃耳]~황이균[黃耳菌] 2251
5109 투편단류[投鞭斷流]~투필[投筆]~투필봉후[投筆封侯] 2259
5108 파선부옥선[坡仙賦玉仙]~파소[爬搔]~파신[波臣]~파심중적난[把心中賊難] 2265
5107 타산상가공량옥[他山尙可攻良玉] ~ 타생[他生] ~ 타석조[打石條] ~ 타수[唾手] 2279
5106 타타[朶朶] ~ 타향승고향[他鄕勝故鄕] ~ 탁경뢰[籜驚雷] ~ 탁녀금[卓女琴] 228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