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릉지회[柯陵之會]~가리[假吏]~가리비도[可離非道]~가림[賈林]~가립이대[可立而待]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60  

가릉지회[柯陵之會] 노성공(魯成公) 17(서기전 574)에 노후(魯侯윤자(尹子단자(單子진후(晉侯제후(齊侯송공(宋公위후(衛侯조백(曹伯주인(邾人)이 연합하여 정()나라를 정벌하고, 626일에 가릉(柯陵)에서 회맹(會盟)한 일을 이른다. 가릉(柯陵)은 당시 정()나라 땅으로, 지금의 하남성(河南省) 신정현(新鄭縣) 서쪽이다.

가리[家貍] 고양이의 별칭이다.

가리[假吏] 그 지방(地方)에서 대를 물려받는 아전(衙前)이 아니고 다른 고을에서 온 아전(衙前)을 이른다. 겸직.

가리[家吏] 태자궁의 아전을 말한다.

가리비도[可離非道] 중용장구(中庸章句) 1장에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하고, 성을 따름을 도()라 하고, 도를 품절(品節)해 놓음을 교()라 한다. 도란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으면 도가 아니다.[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非道也]”라고 한 구절에서 인용한 것이다.

가리왕[歌利王] 범어(梵語)‘Kali’의 음역(音譯)으로, 가리(迦利), 가리(哥利), 갈리(羯利), 가람부(迦藍浮) 등으로도 표기하는데, 부처가 과거세(過去世)에서 인욕선인(忍辱仙人)이 되어 수도할 때 부처의 귀와 코를 베고 팔과 다리를 끊었다고 하는 극악무도한 임금이다.

가림[賈林] ()나라 때 손자(孫子)의 주석가로, 손자십가주(孫子十家註)에 들어 있다.

가림[嘉林] 충청도 임천(林川)의 옛 이름이다. 가림(加林) 또는 임주(林州)라고도 불렀다.

가림고성[嘉林古城] 충남 부여군(扶餘郡) 임천면(林川面) 군사리(郡司里)에 있는 산성이다. 백제 시대 수도였던 부여를 수호하기 위해 금강(錦江) 하류에 축조하였다.

가림구강수[家臨九江水] ‘은 가까이 있다는 뜻이다. ‘九江은 지금의 강서성(江西省) 구강(九江) 동쪽의 장강(長江) 하류 일대를 가리킨다.

가립이대[可立而待] 당장 닥칠 것이다. 서서 기다릴 수 있다는 뜻으로, 오래 걸리지 않음을 이른다.

 

 



번호 제     목 조회
101 가성[佳城]~가성[家聲]~가성견일[佳城見日] 1973
100 화악[華嶽]~화악[龢樂]~화악루[花萼樓]~화양건[華陽巾]~화양군[華陽君] 1969
99 한음병[漢陰甁]~한의[漢儀]~한이[韓圯]~한일참광정[寒日慘光晶] 1968
98 형박삼헌[荊璞三獻]~형범숙존[荊凡孰存]~형벽수주[荊璧隋珠]~형부나함택[荊府羅含宅] 1967
97 항풍항우[恒風恒雨]~항하사[恒河沙]~항해[沆瀣]~항해금경[沆瀣金莖]~항해정양[沆瀣正陽] 1965
96 가릉지회[柯陵之會]~가리[假吏]~가리비도[可離非道]~가림[賈林]~가립이대[可立而待] 1961
95 호구[狐丘]~호구[虎丘]~호구지계[狐丘之戒]~호구지책[糊口之策]~호군[護軍] 1955
94 호로[葫蘆]~호룡도[虎龍韜]~호리[蒿里]~호리[毫釐]~호리건곤[壺裏乾坤] 1953
93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1953
92 판동[板桐]~판별방[辦別房]~판여[板輿]~판여오[板輿娛] 1950
91 해구맹[海鷗盟]~해궁[海宮]~해기[駭機]~해기[薤鄿] 1950
90 해가[薤歌]~해객사[海客査]~해객조[解客嘲]~해곡[嶰谷]~해곡령[嶰谷伶] 1947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