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매[假寐]~가명사가인[佳茗似佳人]~가명인세[假名因勢]~가모[家母]~가모[加耗]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393  

가매[假埋] 가매장함을 이른다.

가매[假寐] 웃을 입은 채 잠을 자는 것을 말한다.

가맹[賈孟] ()나라의 시인 가도(賈島)와 맹교(孟郊)의 병칭이다. 이들은 시풍이 비슷하여 청절(淸切)하고 처고(淒苦)한 것이 많기에 도수교한(島瘦郊寒)이라 일컬어진다.

가명사가인[佳茗似佳人] 소식(蘇軾)의 시에 장난으로 지은 율시 그대여 웃지 마오. 예로부터 좋은 차는 가인과 같다지 않소.[戲作小詩君勿笑 從來佳茗似佳人]”라는 구절이 나온다. <蘇東坡詩集 卷32 次韻曹輔寄壑源試焙新芽>

가명인세[假名因勢] 거짓으로 이름을 빌려 세력을 확장함을 이른다.

가모[假母] 계모, .

가모[家母] 살아 계신 자신의 어머니를 일컫는다.

가모[家母] 외할머니를 뜻한다. 고악부(古樂府)에서 할미[阿婆아파]가 딸을 시집보내지 않으면, 어떻게 손자를 안아볼 수 있나?”라 하였다. 양장거(梁章鉅)의 칭위록(稱謂錄) 2북인(北人)들은 어머니를 가가(家家)라고 부르기 때문에, 어머니의 부모를 가공(家公), 가모(家母)라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북제서(北齊書) 남양왕작전(南陽王綽傳)적모(嫡母)를 가가(家家)라고 부른다.”라고 하였고, 북사(北史) 제종실전(齊宗室傳)뒤에 왕이 태후(太后)에게 눈물을 흘리며 아뢰기를 기회가 되는 대로 가가(家家)를 뵙겠습니다.’라고 하였다.”라 했다.

가모[加耗] 후당(後唐)의 명종(明宗)이 창고에 들어가 수납하는 것을 관찰하였더니, 주리(主吏)가 많이 거둔다고 꾸짖을까 두려워하였다. 그러고는 하소연하기를 창고를 관리하는 자가 가산을 다 털어 넣어 축이 난 것을 채워 넣는 것이 바로 이 때문입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명종이 불쌍하게 여기고 조서를 내려 이제부터는 한 섬당 두 되를 더 취하여 새와 쥐로 인하여 축이 나는 것[雀鼠耗]을 채우라.”고 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가모(加耗)라는 것이다. <석림연어(石林燕語)>

 

 



번호 제     목 조회
137 가둔[嘉遯]~가등[賈鄧]~가라수[加羅守]~가락[嘉樂]~가락시[假樂詩] 1390
136 한습[寒拾]~한신[韓信]~한신내배수[韓信乃背水]~한실의관[漢室衣冠] 1388
135 해라[海螺]~해란[陔蘭]~해랑[奚囊]~해로가[薤露歌] 1385
134 한자애련[韓子愛聯]~한장유[韓長孺]~한적[漢賊] 1384
133 한소이두[韓蘇李杜]~한소후[韓昭侯]~한수[寒羞]~한수[韓壽] 1381
132 한팽역자취[韓彭亦自取]~한팽저해[韓彭菹醢]~한평동살안[閒評僮殺雁] 1379
131 가사[歌斯]~가사가치[家事可治]~가사과상[可使過顙]~가사급[加四級]~가사도[賈似道] 1376
130 포장박뢰풍[鋪張薄雷風]~포정전우[庖丁全牛]~포조[鮑照]~포좌[蒲坐] 1372
129 화호각곡[畫虎刻鵠]~화호로[畫葫蘆]~화호유구[畵虎類狗]~화홍옥백[花紅玉白] 1366
128 가부취결[可否取決]~가부희[假婦戲]~가분구원[加賁丘園]~가분급부[可分給付] 1366
127 해오[蟹螯]~해옥신주[海屋新籌]~해옥첨주[海屋添籌]~해온풍[解慍風] 1361
126 형제이난[兄弟二難]~형제혁장[兄弟鬩墻]~형주[荊州]~형주면[荊州面] 1359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