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봉지속[可封之俗]~가봉지주[歌鳳之儔]~가부[葭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37  

가봉지속[可封之俗] 가봉(可封)비옥가봉(比屋可封)’의 줄임말로 풍속이 아름다워 집집마다 봉()함을 받을 만큼 인물이 많다는 뜻이다. 한서(漢書) 왕망전(王莽傳)에 이르기를 요순시대(·舜時代)에는 집집마다 다 봉()하여주어도 되었다.”라는 내용이 보이며, 논형(論衡) 솔성전(率性傳)에는 요순(堯舜)의 백성들은 집집마다 다 봉()하여도 되었고, 걸주(·)의 백성들은 집집마다 다 죽여도 되었다.”라고 보인다.

가봉지주[歌鳳之儔] 봉황 노래 부른 무리. 성인의 도가 행해지지 않는 것을 탄식하여 거짓으로 미친 척하여 세상을 피한 무리를 말한다. 춘추 시대 초나라의 은자인 접여(接輿)가 초나라로 가려고 하는 공자의 수레 앞을 지나면서 노래하기를 봉이여 봉이여, 어찌 그리도 덕이 쇠했는고.[鳳兮鳳兮 何德之衰]”라고 하였는데, 이는 공자를 봉새에 비유하여 태평 시대도 아닌데 숨지 않고 세상에 나온 것을 기롱한 말이다. <論語 微子>

가부[葭莩] 가부는 갈대 대롱 속에 붙은 엷은 막()을 가리킨 것으로, 전하여 가부의 친척이란 소원한 친척 또는 소원한 교의(交誼)의 뜻으로 자신을 낮추어 쓰는 말이다.

가부[葭莩] 가부는 친함이 박한 것을 비유한 것인데, 후세에는 척의(戚誼)가 있음을 표현하는 말로 쓰였다. 한서(漢書) 53 중산정왕전(中山靖王傳)가부(葭莩)는 친()이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그 주()()는 갈대요, ()는 갈대 대롱 속에 있는 지극히 엷은 흰 청이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233 포옥삼련월[抱玉三連刖]~포옹[逋翁]~포옹구망구[抱瓮久忘劬] 2256
232 가생가도[賈生賈島]~가생기복[賈生忌鵩]~가생비고[賈生非辜] 2254
231 탁사[托社] ~ 탁세편편[濁世翩翩] ~ 탁심장[濯心腸] ~ 탁약한회[橐籥寒灰] 2252
230 혜안[慧眼]~혜양[蕙纕]~혜완[嵇阮]~혜요[彗妖]~혜원유[惠遠遊] 2248
229 함제[含睇]~함지[咸池]~함지욕일[咸池浴日]~함체[陷滯] 2247
228 침자[針磁] ~ 침주[沈舟] ~ 침중홍보[枕中鴻寶] ~ 침탁[踸踔] 2240
227 황정[黃精]~황정[黃鼎]~황정[黃庭]~황정경[黃庭經]~황정환백아[黃庭換白鵝] 2240
226 칠사관잠[七事官箴] ~ 칠상[七相] ~ 칠성미양야[七聖迷襄野] 2239
225 가봉지속[可封之俗]~가봉지주[歌鳳之儔]~가부[葭莩]~~ 2238
224 가분불가분[可分不可分]~가분지락[歌汾之樂]~가불가연불연[可不可然不然] 2232
223 함벽[銜璧]~함분축원[含憤蓄怨]~함사사영[含沙射影]~함삭[銜索] 2230
222 호접이망양[蝴蝶已亡羊]~호접지몽[胡蝶之夢]~호접진[蝴蝶陣]~호정교[胡釘鉸] 2217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