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부[賈傅]~가부[葭莩]~가부[賈傅]~가부[假父]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32  

가부[賈傅] 가의(賈誼)를 가리킨다. 가의가 유배되어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있을 때 복조가 지붕 위에 날아오자, 가의가 죽음이 닥칠까 슬퍼하여 복조부(鵩鳥賦)를 지었다. <漢書 卷48 賈誼傳>

가부[家父] 살아 계신 자신의 아버지를 일컫는 말이다.

가부[葭莩] 아주 먼 친척이 된다는 뜻이다. 한서(漢書) 중산정왕전(中山靖王傳)지금 군신(群臣)과는 가부의 척분이 있지 않다.”라고 하였는데, 그 주에 ()는 갈대 잎이고 부()는 갈대 잎 속의 흰 껍데기이니 아주 얇고 가벼운 것을 뜻한다.”라고 하였다.

가부[假父] 양부, 의붓아비를 일컫는 말이다.

가부[葭莩] 원래의 의미는 갈대의 줄기 속에 있는 얇은 막, 즉 갈대청을 가리키는데, 비유하여 갈대청 같이 지극히 엷은 관계란 뜻으로, 먼 친척을 이르는 말이 되었다. <漢書>

가부[賈傅] 한 문제(漢文帝) 때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를 지낸 가의(賈誼)를 가리키는데, 그가 일찍이 시국광구책(時局匡救策)인 치안책(治安策)을 문제에게 올렸는바, 그 첫머리에 신은 그윽이 생각하건대, 지금의 사세가 통곡할 만한 일이 한 가지요, 눈물을 흘릴 만한 일이 두 가지요, 길이 한숨을 쉴 만한 일이 여섯 가지입니다.[臣竊惟事勢 可爲痛哭者一 可爲流涕者二 可爲長太息者六]”라고 하였다.

가부[賈傅] 한나라 가의(賈誼)를 지칭한 것이다. 가의가 소년 때 제가(諸家)의 글에 통달하였는데, 문제(文帝)가 그를 불러 박사(博士)로 삼았다가 태중대부(太中大夫)로 승진시켰다. 가의가 정삭(正朔)을 개정하고 복색을 변경하고 법도를 제정하고 예악을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자주 상소를 올려 정사에 대해 말하면서 당시의 폐단을 지적하자 대신이 미워하여 장사왕(長沙王) 태부(太傅)로 내보냈다. 이윽고 양 회왕(梁懷王)의 태부로 옮겼다가 33세에 죽었는데, 세상에서 그를 가태부(賈太傅)라고도 하고 가생(賈生)이라고도 한다. <史記 卷84 賈生列傳>

 

 



번호 제     목 조회
197 탈낭추[脫囊錐] ~ 탈속반[脫粟飯] ~ 탈영[脫穎] ~ 탈영추[脫穎錐] 1527
196 한항금속[寒缸金粟]~한해[瀚海]~한해소조[韓海蘇潮]~한헌제[漢獻帝] 1521
195 가릉[嘉陵]~가릉[歌菱]~가릉강[嘉陵江]~가릉빈가[迦陵頻伽] 1516
194 한중[漢中]~한진[韓鎭]~한청[汗靑]~한침진경[漢寢震驚] 1513
193 한아[寒鴉]~한안[汗顔]~한안국[韓安國]~한양애왕[韓襄哀王] 1507
192 해제천규[海帝穿竅]~해조[海棗]~해조[解絛]~해조문[解嘲文]~해조음[海潮音] 1505
191 호계별[虎溪別]~호계삼소[虎溪三笑]~호계평류[瓠繫萍流]~호관친림[虎觀親臨] 1504
190 판향[瓣香]~판향배[瓣香拜]~팔개[八凱]~팔결문[八結文] 1501
189 포의[褒衣]~포의지교[布衣之交]~포의한사[布衣寒士]~포인계육[庖人繼肉] 1501
188 함서[緘書]~함소[咸韶]~함소리[含消梨]~함우주주[銜羽周周] 1499
187 황정[黃精]~황정[黃鼎]~황정[黃庭]~황정경[黃庭經]~황정환백아[黃庭換白鵝] 1499
186 해낭[奚囊]~해노습득[奚奴拾得]~해당부인[海棠夫人]~해당시[海棠詩]~해대[海岱] 1496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