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부가[柯斧歌]~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가부상제[可否相濟]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346  

가부가[柯斧歌] 원효가 요석공주(瑤石公主)를 만날 적에 불렀다고 하는 노래이다. 원효가 어느 날 미친 듯이 길거리에서 노래를 부르기를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나에게 주랴, 하늘 받칠 기둥감을 내 찍으련다.[誰許沒柯斧 我斫支天柱]”라고 하자, 태종 무열왕이 그 노래를 듣고는 대사께서 귀부인을 만나 어진 자식을 낳고 싶어 하는 것이다.”라 하고는, 원효를 요석공주가 있는 요석궁으로 보내었는데, 뒤에 요석공주가 잉태하여 설총(薛聰)을 낳았다고 한다.

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 가부(賈傅)는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를 지낸 한() 나라의 가의(賈誼)를 가리킨다. 강관(絳灌)은 한 나라의 개국공신인 강후(絳侯) 주발(周勃)과 영음후(潁陰侯) 관영(灌嬰)의 병칭이다. 가의가 20세 때 문제(文帝)의 부름을 받고 조정에 들어와 1년도 안 된 사이에 태중 대부(太中大夫)에 이르면서 예악에 입각한 문치(文治)의 정책을 과감하게 건의하자, 문예를 잘 모르는 주발과 관영 등 대신들이 이를 시기하여 조정에서 쫓아냈다. <史記 卷84>

가부낭중[駕部郎中] 병부(兵部)에 소속된 가부사(駕部司)의 주관(主官)으로, 역전(驛傳), 우마(牛馬) 등을 관장(管掌)하였다.

가부득감부득[加不得感不得] 더할 수도 뺄 수도 없음을 이른다.

가부상제[可否相濟] 어떤 일을 의논할 적에 자기 의견을 솔직히 개진하여 가타부타 따져서 일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서경(書經) 함유일덕(咸有一德)관직을 맡기되……조화롭게 한결같게 하소서.[任官……惟和惟一.]”라고 하였고, 주석에 ……()는 가()와 부()로 서로 구제해 주는 것이고……[……和者可否相濟……]”라고 하였다. 즉 이 말은 어떤 사안을 놓고 서로 가부를 논쟁하여 옳고 그름을 따져 구제하여 처리하는 것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237 가생수체[賈生垂涕]~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가생지통[賈生之痛] 1334
5236 호상락[濠上樂]~호섭수 유기미[狐涉水 濡其尾]~호생[好生]~호성[鄗城] 1335
5235 팔고[八苦]~팔공[八公]~팔관[八關]~팔괘[八卦]~팔굉[八紘] 1337
5234 형박삼헌[荊璞三獻]~형범숙존[荊凡孰存]~형벽수주[荊璧隋珠]~형부나함택[荊府羅含宅] 1339
5233 가독[家督]~가돈[嘉遯]~가돈실[賈敦實]~가돈이[賈敦頤] 1339
5232 화유[火維]~화음[華陰]~화의[化衣]~화이부동[和而不同]~화익선[畫鷁船]~화일[畫一] 1341
5231 가불매조[呵佛罵祖]~가불원[柯不遠]~가비[家備]~가비옥이봉[可比屋而封] 1341
5230 한산[寒山]~한산편석[韓山片石]~한상[韓湘]~한생탈득동귀지[韓生奪得東歸志] 1342
5229 해가[薤歌]~해객사[海客査]~해객조[解客嘲]~해곡[嶰谷]~해곡령[嶰谷伶] 1342
5228 해수[亥首]~해수[薤水]~해수불파[海水不波]~해시[海市]~해시지와[亥豕之訛] 1344
5227 가부가[柯斧歌]~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가부상제[可否相濟] 1347
5226 가생가도[賈生賈島]~가생기복[賈生忌鵩]~가생비고[賈生非辜] 134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