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생가도[賈生賈島]~가생기복[賈生忌鵩]~가생비고[賈生非辜]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328  

가생가도[賈生賈島] 가생(賈生)은 한() 나라 가의(賈誼)를 말하고 가도(賈島)는 당() 나라 때 시인(詩人)인데,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한유(韓愈)의 가르침을 받아 다시 환속(還俗)하였다. <唐書 卷一百七十六 賈島傳>

가생기복[賈生忌鵩] 가생은 전한(前漢) 때 가의(賈誼)를 가리킨다. 그는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되어 마음이 울적하고 지세(地勢)가 비습하여 건강도 나빴는데 상서롭지 못하다는 올빼미마저 날아들므로 복조부(鵩鳥賦)를 지어 자위하였다. <漢書 賈誼列傳>

가생류체[賈生流涕] 가생은 한 문제(漢文帝) 때의 문신 가의(賈誼)를 가리키는데, 그가 시국광구책(時局匡救策)인 치안책(治安策)을 문제에게 올려 잘못된 정치를 격렬히 비판했던바, 치안책 첫머리의 대략에 신은 삼가 생각하건대, 지금의 사세가 통곡할 만한 일이 한 가지요, 눈물을 흘릴 만한 일이 두 가지요, 길이 한숨을 쉴 만한 일이 여섯 가지입니다.[臣竊惟事勢 可爲痛哭者一 可爲流涕者二 可爲長太息者六]”라고 하였다. <漢書 卷48 賈誼傳>

가생비고[賈生非辜] 가생(賈生)은 한()나라 가의(賈誼)를 가리킨다. 그는 불과 스무 살의 어린 나이로 문제(文帝)의 깊은 신임을 얻어 태중대부(太中大夫)로 발탁되어 복색(服色), 제도(制度), 관명(官名) 등의 대대적인 개혁을 주장하다가 당시 대신이었던 주발(周勃), 관영(灌嬰) 등의 참소를 입었다. 그리하여 문제의 신임을 잃고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되어 서른셋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漢書 卷48 賈誼傳>

 

 



번호 제     목 조회
5249 항아계수[姮娥桂樹]~항아분월[嫦娥奔月]~항액[亢軛]~항영[項嬰] 1296
5248 화악[華嶽]~화악[龢樂]~화악루[花萼樓]~화양건[華陽巾]~화양군[華陽君] 1299
5247 호량[濠梁]~호량유[濠梁游]~호려[虎旅]~호련기[瑚璉器] 1301
5246 항풍항우[恒風恒雨]~항하사[恒河沙]~항해[沆瀣]~항해금경[沆瀣金莖]~항해정양[沆瀣正陽] 1306
5245 황량몽[黃粱夢]~황량미숙[黃梁未熟]~황량일취몽[黃粱一炊夢]~황량지몽[黃粱之夢] 1307
5244 한비세난[韓非說難]~한빙지옥[寒氷地獄]~한빙처[韓凭妻] 1308
5243 호자[胡仔]~호자가[瓠子歌]~호장[壺漿]~호장백일선[壺藏白日仙] 1308
5242 홍노[洪爐]~홍농도하[弘農渡河]~홍니[紅泥]~홍니[鴻泥]~홍도설니[鴻蹈雪泥] 1309
5241 가섭미소[伽葉微笑]~가섭염화[迦葉拈花]~가섭진종[迦葉眞宗] 1309
5240 호구[狐丘]~호구[虎丘]~호구지계[狐丘之戒]~호구지책[糊口之策]~호군[護軍] 1315
5239 호로[葫蘆]~호룡도[虎龍韜]~호리[蒿里]~호리[毫釐]~호리건곤[壺裏乾坤] 1316
5238 가생수체[賈生垂涕]~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가생지통[賈生之痛] 131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