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생수체[賈生垂涕]~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가생지통[賈生之痛]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77  

가생수체[賈生垂涕] 가생(賈生)은 한 문제(漢文帝) 때의 문신 가의(賈誼)의 별칭이고, 눈물을 흘렸다는 것은 곧 그가 일찍이 시국광구책(時局匡救策)인 치안책(治安策)을 문제에게 올렸던바, 그 첫머리에 신은 그윽이 생각건대, 지금의 사세가 통곡할 만한 일이 한 가지요, 눈물을 흘릴 만한 일이 두 가지요, 길이 한숨을 쉴 만한 일이 여섯 가지입니다.[臣竊惟事勢 可爲痛哭者一 可爲流涕者二 可爲長太息者六]”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48 賈誼傳>

가생작부강관비[賈生作賦强寬譬] 가생은 전한(前漢)의 가의(賈誼)를 말하는데, 그가 장사왕 부(長沙王傅)로 좌천되었을 때, 불길한 새로서 올빼미 같이 생긴 복조(鵩鳥)가 자신의 방에 날아 들어와 앉자, 그는 이를 불길한 징조라 하여 자신이 곧 죽을 것으로 여기고, 이에 복조부(鵩鳥賦)를 지어서 자신을 위로했던 것을 말한다. <漢書 卷四十八>

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 가생은 한() 나라 때의 가의(賈誼)를 말하고, 장태식은 소리를 길게 내는 한숨을 이른 것으로, 가의가 일찍이 한 문제(漢文帝)에게 올린 글에서 국가의 사세(事勢)를 들어 통곡(痛哭)할 만한 것이 한 가지요, 유체(流涕)할 말한 것이 두 가지요, 장태식할 만한 것이 여섯 가지입니다 …… .”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48>

가생지초[賈生之楚] () 나라 가의(賈誼)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되어 남초(南楚)에 갔다.

가생지통[賈生之痛] 한 문제(漢文帝) 때 장사왕 태부(長沙王太傅) 가의(賈誼)가 흉노의 변경 침입 및 제후의 발호로 인한 국가의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상소를 올려 시무책(時務策)을 건의하였다. 그 상소에서 가의는 시사의 문제점을 통곡할 만한 일 하나, 눈물 흘릴 만한 일 둘, 길이 탄식할 만한 일 여섯으로 나누어 지적하였다. <漢書 卷48 賈誼傳>

 

 



번호 제     목 조회
5189 한아[寒鴉]~한안[汗顔]~한안국[韓安國]~한양애왕[韓襄哀王] 2062
5188 형석[衡石]~형설지공[螢雪之功]~형수[荊樹]~형수화[荊樹花]~형승지지[形勝之地] 2065
5187 가근불가하[可近不可下]~가금[價金]~가급인족[家給人足]~가기[佳期]~가기[佳氣] 2066
5186 환속[還俗]~환신[幻身]~환심수초부[還尋遂初賦]~환아경[換鵝經]~환아서[換鵞書] 2069
5185 가변[加籩]~가병[佳兵]~가보보지[可輔輔之]~가보어산경[假步於山扃] 2070
5184 가롱성진[假弄成眞]~가루[家累]~가루견보[架漏牽補]~가류[苛留]~가륭[嘉隆] 2073
5183 형가[亨嘉]~형가[荊軻]~형갱[鉶羹]~형경[荊卿]~형경분월계[衡鏡分月桂] 2074
5182 함서[緘書]~함소[咸韶]~함소리[含消梨]~함우주주[銜羽周周] 2076
5181 판향[瓣香]~판향배[瓣香拜]~팔개[八凱]~팔결문[八結文] 2078
5180 혼가필[婚嫁畢]~혼경위[混涇渭]~혼돈개벽[混沌開闢]~혼돈사[混沌死] 2078
5179 가비옥이주[可比屋而誅]~가빈감환졸[家貧甘宦拙]~가빈사양처[家貧思良妻] 2078
5178 가생수체[賈生垂涕]~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가생지통[賈生之痛] 2078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