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생척축 복소선실[賈生斥逐 復召宣室]~가생통한[賈生痛漢]~가서[哥舒]~가서[嘉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208  

가생척축 복소선실[賈生斥逐 復召宣室] 가생(賈生)은 가의(賈誼), 서한(西漢) 하남(河南) 낙양(洛陽) 사람이다. 문재(文才)가 출중하여 20여 세 때 문제(文帝)가 불러 박사(博士)로 삼았고 2, 3년 사이에 승진을 거듭하여 태중대부(太中大夫)에까지 승진하였다. 자주 글을 올려 시정(時政)의 폐단을 건의하다가 대신(大臣) 주발(周勃)과 관영(灌嬰) 등의 참소로 장사왕태부(長沙王太傅)로 폄직되었다. 그로부터 1년 뒤에 문제(文帝)가 그를 장안(長安)으로 불러들여 선실(宣室)에서 단둘이 만나 밤이 깊도록 귀신(鬼神)의 이치에 관해 대화를 나누었다. 선실(宣室)은 미앙궁(未央宮)에 딸린 궁전으로, 황제가 재계하는 개인적인 처소이다. <漢書 48 賈誼列傳>

가생통한[賈生痛漢] 한 문제(漢文帝) 때 흉노(匈奴)의 세력이 강성하여 국경을 침범하고, 나라의 제도가 체제가 잡히지 않아 엉성하고, 회남왕(淮南王)과 제북왕(濟北王)이 반역을 꾀하다가 사형을 당하는 등 나라의 안팎이 매우 어지럽자, 양회왕(梁懷王) 태부(太傅)로 있던 가의(賈誼)가 이를 개탄하여 올린 상소에 신은 삼가 사세를 생각건대 통곡할 만한 것이 한 가지이고 눈물을 흘릴 만한 것이 두 가지이고 길게 한숨을 쉴 만한 것이 여섯 가지입니다.” 하며, 조목별로 그 내용을 진술하였다. <漢書 卷四十八 賈誼傳>

가서[軻書] 가서는 맹자(孟子)를 말한다.

가서[哥舒] 복성(複姓)이다. ()나라 때 돌기시(突騎施)에 가서부(哥舒部)가 있어 대대로 안서(安西)에 살았고, 또한 부락(部落)의 이름을 성씨(姓氏)로 삼았다.

가서[嘉瑞] 상서(祥瑞), 길조(吉兆).

가서[嫁鼠] 쥐의 출가.

 

 



번호 제     목 조회
5285 홍연[弘演]~홍연대소[哄然大笑]~홍엽제시[紅葉題詩]~홍우점[鴻羽漸] 1208
5284 가생척축 복소선실[賈生斥逐 復召宣室]~가생통한[賈生痛漢]~가서[哥舒]~가서[嘉瑞] 1209
5283 가달[假㺚]~가담[迦譚]~가담[賈耽]~가담항어[街談巷語]~가당오씨[可堂吳氏] 1213
5282 가도어인[假道於仁]~가도우거[假道于莒]~가도정의[家道正矣]~가도한위[假道韓魏] 1218
5281 가서백란[佳婿伯鸞]~가서수동관[哥舒守潼關]~가서저만금[家書抵萬金] 1218
5280 화시[華始]~화식[火食]~화식전[貨殖傳]~화신풍[花信風]~화씨박[和氏璞] 1220
5279 환저기[環滁記]~환정[宦情]~환주[環柱]~환중[環中]~환체[換遞]~환추[豢芻] 1220
5278 황사[黃沙]~황사랑[黃四娘]~황산곡[黃山谷]~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1220
5277 가마[珂馬]~가마[賈馬]~가마[加麻]~가망[加望] 1220
5276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227
5275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247
5274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124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