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선긍불능[嘉善矜不能]~가선령[嘉善令]~가선리[駕仙鯉]~가설[假設]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63  

가선긍불능[嘉善矜不能] 잘하는 것은 칭찬하여 아름답게 여기고, 잘못하는 것은 딱하게 여긴다는 말이다. <論語 子張篇>

가선대부[嘉善大夫] 조선조 때 종2() 문무관(文武官)의 품계이다.

가선령[嘉善令] 가선은 명()나라 때 설치된 현의 이름인데, 절강성(浙江省)에 속하였다. ()은 고을의 장()이다.

가선리[駕仙鯉] 옛날에 금고(琴高)가 잉어를 타고 신선이 되어 갔다.

가설[假設] 가령. 임시로 설치함. 실제로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침.

가설[假設] 소식(蘇軾)진소유몽발빈이장지자운……(秦少游夢發殯而葬之者云……)’ 시에 도거와 추령은 모두 가설한 것들이니, 그대여 자세히 눈여겨보고 착각하지 마시라.[塗車芻靈皆假設 著眼細看君勿誤]”라는 말이 나온다. <蘇東坡詩集 卷24> 추령(芻靈)은 풀을 묶어서 사람의 형상을 만든 것이고, 도거(塗車)는 진흙을 빚어서 수레의 형상을 만든 것인데, 모두 죽은 자의 무덤에 순장용(殉葬用)으로 함께 묻어서 종위(從衛)하게 하는 명기(明器)의 일종이다. <禮記 檀弓下>

 

 



번호 제     목 조회
5285 호도격주[號咷擊柱]~호두[虎頭]~호두[鄠杜]~호두전신[虎頭傳神] 1759
5284 가마[珂馬]~가마[賈馬]~가마[加麻]~가망[加望] 1760
5283 가선긍불능[嘉善矜不能]~가선령[嘉善令]~가선리[駕仙鯉]~가설[假設] 1764
5282 황사[黃沙]~황사랑[黃四娘]~황산곡[黃山谷]~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1766
5281 호증[胡曾]~호지원[胡地怨]~호천[壺天]~호천망극[昊天罔極] 1767
5280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774
5279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775
5278 할마[瞎馬]~할목무전[割目無全]~할육충복[割肉充腹]~함계설향[含雞舌香] 1779
5277 가대[假對]~가대부[賈大夫]~가대상가[假貸商賈]~가대인[家大人]~가덕대부[嘉德大夫] 1780
5276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786
5275 홍연[弘演]~홍연대소[哄然大笑]~홍엽제시[紅葉題詩]~홍우점[鴻羽漸] 1786
5274 함곡관[函谷關]~함공[緘供]~함관자기[函關紫氣] 1788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