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설작라[可設雀羅]~가섭[迦葉]~가섭[假攝]~가섭국[迦葉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254  

가설작라[可設雀羅] 사기(史記) 120 급정열전(汲鄭列傳)처음에 적공(翟公)이 정위(廷尉)가 되었을 때는 빈객들이 문에 가득 찾아왔는데, 그가 파면됨에 미쳐서는 빈객이 한 사람도 오지 않아서, 문밖에 새그물을 칠 정도였다.[始翟公爲廷尉 賓客闐門 及廢 門外可設雀羅]”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가설첨지첩[加設僉知帖] 가설은 정원 이외에 벼슬자리를 임시로 더 늘리는 일이므로 가설첨지첩은 정원 이외로 더 늘린 첨지(僉知)의 관첩(官帖)을 말한다. 첨지(僉知)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의 약칭으로, 중추부(中樞府)의 당상(堂上) 3품 무관 벼슬이다.

가섭[迦葉] 가섭은 석가의 십대 제자의 한 사람인 마하 가섭파(摩訶迦葉波)로 불교의 장로(長老)가 된 사람이다. 석가가 죽은 뒤 승단을 이끌어 일대 조사(祖師)가 되었다. ‘두타제일(頭陀第一)’이라 불린다.

가섭[假攝] 일시적으로 직무를 대행함을 말한다.

가섭국[迦葉國] 삼국사기 권13 고구려본기 동명성왕 1년에 의하면, 부여(扶餘)의 왕 해부루(解夫婁)가 동해(東海) 바닷가 가섭원(迦葉原)으로 옮겨가서 세운 나라가 동부여(東扶餘)인데, 이 동부여를 가리킨 것인 듯하다. 해부루가 죽은 뒤에 금와(金蛙)가 동부여의 왕이 되었고, 금와가 죽은 뒤에는 장남 대소(帶素)가 뒤를 이었는데, 대소는 고구려 대무신왕과의 전투에서 죽었다. 정약용의 경세유표에는 가섭원의 위치를 현재의 강원도 강릉 지역이라고 하였으나 학자들 간에 이설이 있으며 정확한 위치는 미상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73 호증[胡曾]~호지원[胡地怨]~호천[壺天]~호천망극[昊天罔極] 1241
5272 황과[皇荂]~황관[黃冠]~황구요탁[黃口謠啄]~황구첨정[黃口簽丁]~황궁[黃宮] 1241
5271 호도격주[號咷擊柱]~호두[虎頭]~호두[鄠杜]~호두전신[虎頭傳神] 1242
5270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243
5269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245
5268 화류[花柳]~화륜[火輪]~화문[花門]~화미구미[畫眉求媚]~화발치진[華髮緇塵] 1247
5267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247
5266 가대[假對]~가대부[賈大夫]~가대상가[假貸商賈]~가대인[家大人]~가덕대부[嘉德大夫] 1249
5265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250
5264 가릉지회[柯陵之會]~가리[假吏]~가리비도[可離非道]~가림[賈林]~가립이대[可立而待] 1255
5263 가설작라[可設雀羅]~가섭[迦葉]~가섭[假攝]~가섭국[迦葉國] 1255
5262 가성[佳城]~가성[家聲]~가성견일[佳城見日] 1258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