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성[佳城]~가성[家聲]~가성견일[佳城見日]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257  

가성[佳城] 가성은 묘소를 일컫는 말이다. ()나라 고조(高祖)의 명신인 등공(滕公) 하후영(夏侯嬰)이 하루는 말을 타고 동도문(東都門)에 이르렀는데, 말이 가지 않고 발로 땅을 차기에 그곳을 파 보니 석곽(石槨) 하나가 나왔는데, 여기에 답답하던 가성이 3천 년 만에 태양을 보았네. , 등공이 이곳에 머물리라.[佳城鬱鬱 三千年見白日 吁嗟滕公居此室]”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었다. 이에 등공이 유언하여 자신이 죽은 뒤에 이곳에 장사지내게 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西京雜記 卷4>

가성[佳城] 무덤을 뜻한다. 한 고조(漢高祖)의 명신인 하후영(夏侯嬰)은 봉호가 등공(滕公)인데, 등공이 일찍이 말을 타고 동도문(東都門)에 이르렀을 때 말이 가지 않고 발로 땅을 허비적거리므로, 그곳을 파 본 결과 석곽(石槨) 하나가 나왔다. 이를 깨끗이 씻어서 보니 답답하던 가성이 삼천 년 만에 태양을 보았도다. , 등공이 이곳에 거처하리라.[佳城鬱鬱 三千年見白日 吁嗟滕公居此室]”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었다. 이에 등공이 죽은 뒤에 유명(遺命)에 의해 그곳에 장사 지냈다. <西京雜記 卷4>

가성[佳城] 아름다운 성(). 무덤의 견고함을 성에 비유하여 이른 말이다. ()나라 등공(滕公)이 말을 타고 가다가 동도문(東都門) 밖에 이르자 말이 울면서 앞으로 나가지 않고 발로 오랫동안 땅을 굴렀다. 사졸(士卒)을 시켜 땅을 파보니 깊이 석 자쯤 들어간 곳에 석곽(石槨)이 있고, 거기에 가성(佳城)이 울울하니, 삼천 년 만에야 해를 보도다. 아아! 등공이여, 이 실에 거처하리라.[佳城鬱鬱 三千年見白日 吁嗟滕公 居此室]”라는 글이 새겨져 있었다 한다. <西京雜記 卷4>

가성[家聲] 여러 대 전해 오는 그 집안의 명성. 집안의 명예.

가성견일[佳城見日] 가성은 묘소를 일컫는 말로, 해를 본다는 것은 다시 무덤을 열어 천장한다는 뜻이다. ()나라 고조(高祖)의 명신인 등공(滕公) 하후영(夏侯嬰)이 하루는 말을 타고 동도문(東都門)에 이르렀는데, 말이 가지 않고 발로 땅을 차기에 그곳을 파 보니 석곽(石槨) 하나가 나왔는데, 여기에 답답하던 가성이 3천 년 만에 태양을 보았네. , 등공이 이곳에 머물리라.[佳城鬱鬱 三千年見白日 吁嗟滕公居此室]”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었다. 이에 등공이 유언하여 자신이 죽은 뒤에 이곳에 장사지내게 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西京雜記 卷4>

 

 



번호 제     목 조회
77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245
76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241
75 황과[皇荂]~황관[黃冠]~황구요탁[黃口謠啄]~황구첨정[黃口簽丁]~황궁[黃宮] 1241
74 호도격주[號咷擊柱]~호두[虎頭]~호두[鄠杜]~호두전신[虎頭傳神] 1240
73 호증[胡曾]~호지원[胡地怨]~호천[壺天]~호천망극[昊天罔極] 1240
72 홍곡[鴻鵠]~홍관일[虹貫日]~홍교[虹橋]~홍구[鴻溝]~홍군[紅裙] 1239
71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1239
70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220
69 가마[珂馬]~가마[賈馬]~가마[加麻]~가망[加望] 1217
68 환저기[環滁記]~환정[宦情]~환주[環柱]~환중[環中]~환체[換遞]~환추[豢芻] 1213
67 황사[黃沙]~황사랑[黃四娘]~황산곡[黃山谷]~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1212
66 화시[華始]~화식[火食]~화식전[貨殖傳]~화신풍[花信風]~화씨박[和氏璞] 1211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