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공군원저어[孔君元齟齬] ~ 공극[拱極]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249  
♞공군원저어[孔君元齟齬] 후한(後漢) 때의 고사(高士)로서 일찍이 북해상(北海相)과 태중대부(太中大夫) 등을 역임하고, 뒤에 조조(曹操)와 사이가 좋지 않으므로 인하여 끝내 조조에게 처형되었던 공융(孔融)을 가리킨다. <後漢書 卷七十>
♞공군저어[孔君齟齬] 공군은 송 철종(宋哲宗) 때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낸 공문중(孔文仲)을 가리킨다. 성품이 강직하여 재상 왕안석(王安石)이 창안한 재정 관리와 군사 훈련하는 법이 옳지 않다고 논한 일로 파직되기도 하였다.
♞공군저어[孔君齟齬] 공군은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 북해상(北海相)이 되었다가 뒤에 조조(曹操)와 뜻이 맞지 않아 그에게 피살된 공융(孔融)을 말한다.
♞공규[孔戣] 당(唐) 나라의 명신. 헌종(憲宗) 때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어 이섭(李涉)의 망상(罔上)하는 죄상을 탄핵하고 이소화(李少和)·최이간(崔易簡)의 옥사(獄事)를 판결했으며, 목종(穆宗) 때에 사퇴를 빌자, 한유(韓愈)가 “조정에 공규 같은 인재는 3~4명밖에 되지 않으니, 사퇴를 만류해야 한다.” 하였다. <新唐書 孔戣傳>
♞공극[拱極] 공신(拱辰)과 같은 말로, 뭇별이 북극성을 향하는 것처럼 덕정(德政)을 펼치는 중국의 황제에게 충성을 다하겠다는 말이다. 논어(論語) 위정(爲政)에 “덕정(德政)을 펴면,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북극성 쪽으로 뭇별들이 향하는 것처럼 될 것이다.[北辰居其所 而衆星拱之]”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345 역책[易簀] 1596
5344 가액지망[加額之望]~가야[伽倻]~가야[伽倻]~가야다투참[佳冶多妬讒]~가양[嘉釀] 5655
5343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2929
5342 가씨삼호[賈氏三虎]~가씨소[賈氏疏]~가아[駕鵝]~가아[可兒] 3031
5341 가신강음[佳辰强飮]~가신위모[假神爲謀]~가실[嘉實]~가씨규렴한연소[賈氏窺簾韓掾少] 2825
5340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2809
5339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2812
5338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3396
5337 가수편[嘉樹篇]~가숙[家塾]~가숙당서[家塾黨序] 3422
5336 가수부각궁[嘉樹賦角弓]~가수부시[假手賦詩]~가수전[嘉樹傳] 2746
5335 가쇄[枷鎖]~가수[嘉樹]~가수[佳手]~가수[假守]~가수[家數] 3309
5334 가소[賈疏]~가소년[賈少年]~가속[賈餗]~가손[賈遜] 418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