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욕기여점[浴沂與點] ~ 욕기영귀[浴沂咏歸] ~ 욕반창염[欲攀蒼髥]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43  

욕기여점[浴沂與點] 기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는 물이름이다. 공자(孔子)가 제자들에게 각자의 뜻을 말하라 하자, 뜻이 고상한 증점(曾點)봄철에 어른 5~6명과 동자(童子) 6~7명과 함께 기수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소풍한 다음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하니 공자는 감탄하며 나는 증점을 허여한다.”라고 하였다. <論語 先進>

욕기영귀[浴沂咏歸] 공자 앞에서 여러 제자들이 각기 제 뜻을 말할[言誌] 때 증점(曾點)이 남다르게 술회(述懷)하여 공자의 동감(同感)을 얻은 말이다. 논어(論語) 선진(先進)편에 늦은 봄에 봄 옷이 이뤄지거든 관동 6,7명으로 더불어 기수에 목욕하고 무우에 바람 쏘이고 읊으며 돌아오리이다.[莫春者 春服旣成 冠童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咏而歸]”라는 말이 있다.

욕기풍우[浴沂風雩] 기수에 가 목욕하고 무우에서 바람 쏘임. 공자가 몇몇 제자들에게 각기 취향을 말하도록 물었을 때 증점(曾點)이 답한 내용의 일부이다. <論語 先進>

욕반창염[欲攀蒼髥] 황제(黃帝)가 용을 타고 승천(昇天)하려고 할 적에 여러 사람들이 길게 늘어뜨린 용의 턱 수염을 부여잡고 함께 가려고 하다가 수염이 빠지는 바람에 땅으로 떨어지고 말았다는 전설이 전한다. <史記 卷28 封禪書>

 

 



번호 제     목 조회
5345 역책[易簀] 1566
5344 가액지망[加額之望]~가야[伽倻]~가야[伽倻]~가야다투참[佳冶多妬讒]~가양[嘉釀] 5570
5343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2885
5342 가씨삼호[賈氏三虎]~가씨소[賈氏疏]~가아[駕鵝]~가아[可兒] 2971
5341 가신강음[佳辰强飮]~가신위모[假神爲謀]~가실[嘉實]~가씨규렴한연소[賈氏窺簾韓掾少] 2792
5340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2769
5339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2779
5338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3323
5337 가수편[嘉樹篇]~가숙[家塾]~가숙당서[家塾黨序] 3325
5336 가수부각궁[嘉樹賦角弓]~가수부시[假手賦詩]~가수전[嘉樹傳] 2717
5335 가쇄[枷鎖]~가수[嘉樹]~가수[佳手]~가수[假守]~가수[家數] 3242
5334 가소[賈疏]~가소년[賈少年]~가속[賈餗]~가손[賈遜] 395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