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욕벽자방곡[欲辟子房穀] ~ 욕불[浴佛] ~ 욕새맹진[欲塞孟津]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396  

욕벽자방곡[欲辟子房穀] 도가(道家)의 양생술(養生術)을 닦고 싶다는 뜻이다. 자방(子房)은 한() 나라 장량(張良)의 자()인데, 사기(史記) 유후세가(留侯世家)인간 세상을 떠나 적송자(赤松子)를 따라 노닐고 싶다고 말한 뒤 벽곡(辟穀)을 하는 법을 배우고 도인(導引)과 경신(輕身)의 술법을 행하였다.”고 하였다.

욕불[浴佛] 불교(佛敎)에서 석가(釋迦)가 탄생한 음력 4월 초파일에 석가의 상[佛像]에 향수(香水)를 뿌리는 행사를 말한다.

욕새맹진[欲塞孟津] 자신의 역량을 헤아리지 못하고 대항하는 것을 말한다. 동한(東漢) 초에 주부(朱浮)가 대장군이 되어 북변(北邊)을 토평하였는데, 어양 태수(漁陽太守)로 있는 자가 항명하였다. 그러자 주부가 그에게 말하기를 지금 천하가 몇 리이고 열군이 몇 성인가. 어찌하여 자그마한 어양을 가지고 천자와 원한을 맺으려고 하는가. 이는 황하 물가에 사는 사람이 흙을 손으로 떠다가 맹진을 막으려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33 朱浮列傳>

 

 



번호 제     목 조회
5345 역책[易簀] 1594
5344 가액지망[加額之望]~가야[伽倻]~가야[伽倻]~가야다투참[佳冶多妬讒]~가양[嘉釀] 5649
5343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2928
5342 가씨삼호[賈氏三虎]~가씨소[賈氏疏]~가아[駕鵝]~가아[可兒] 3028
5341 가신강음[佳辰强飮]~가신위모[假神爲謀]~가실[嘉實]~가씨규렴한연소[賈氏窺簾韓掾少] 2824
5340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2808
5339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2808
5338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3390
5337 가수편[嘉樹篇]~가숙[家塾]~가숙당서[家塾黨序] 3421
5336 가수부각궁[嘉樹賦角弓]~가수부시[假手賦詩]~가수전[嘉樹傳] 2743
5335 가쇄[枷鎖]~가수[嘉樹]~가수[佳手]~가수[假守]~가수[家數] 3299
5334 가소[賈疏]~가소년[賈少年]~가속[賈餗]~가손[賈遜] 4178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