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原文

 

 

나라의 이기는 보여서는 안 된다

 

- 韓非子 第21篇 喩老[2]-

 

신하를 통제하는 주권이 군주 자신의 손에 있는 상태를 중(重)이라 하고, 지위를 떠나지 않은 상태를 정(靜)이라고 한다. 중(重)이 되면 경(輕)한 사람을 사용하고, 정(靜)이 되면 조(躁)한 사람을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노자는「중(重)은 경(輕)의 근본이요, 정(靜)은 조(躁)의 군주다」라고 했고, 또「군주는 여행 중에 종일 치중(輜重:식량과 의복을 실은 수레)에서 떠날 수 없다」고 했다. 나라는 군주에게 있어 치중과 같이 소중한 것이다. 주보가 생존 중에 그 지위를 아들에게 계승한 것은 소중한 치중을 떠난 셈이다. 그래서 대와 운중에서 환락에 도취할 수는 있었지만 조나라는 그의 손에서 떠나 그의 소유가 아니었다. 주보는 만승의 나라의 군주로서 그 몸을 경망스럽게 다룬 셈이었다. 권세가 없는 것을 경(輕)이라 하며,

함부로 지위에서 떠나는 것을 조(躁)라 한다. 주보는 경(輕)하고 조(躁)했기 때문에 살아서 감금을 당한 채 사망한 것이다. 그래서 노자는「군주는 경(輕)하면 신하를 잃고 조(躁)하면 지위를 잃는다(노자 제26장)」고 한 것이다.

무거운 위세는 물고기가 못을 떠나지 못하는 것처럼 군주도 거기서 떠나서는 안 된다. 군주인 자가 무거운 위세를 신하에게 잃게 되면 다시 그것을 회복하지 못한다. 제나라의 간공은 위세를 전성에게 빼앗겼고, 진공은 이것을 번, 중행, 지, 한, 위, 조의 여섯 대신에게 빼앗기고 나라를 잃고 죽었다. 그래서 노자는「물고기가 심연에서 탈출 할 수는 없다(노자 제36장)」고 한 것이다.

상벌은 나라를 다스리는 이기이다. 그것이 군주의 수중에 있으면 신하를 제어하며, 신하의 수중에 있으면 군주를 능가하게 된다. 군주가 상을 제시하면 신하는 그것을 숨겨두고 생색을 낼 것이며, 군주가 벌을 제시하면 신하는 그것에 꼬리를 달아 자기 위력을 늘린다. 그러니까 군주가 상을 제시하면 간신이 위력을 대신 행사하고, 군주가 벌을 제시하면 간신은 벌의 위력에 편승하여 멋대로 놀아난다. 그래서 노자는「나라의 이기는 사람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노자 제36장)」고 한 것이다.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하늘구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