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한시(漢詩)에 대하여
한시(漢詩)는 한자로 기록된 시를 말한다. 중국 및 주변 한자문화권에서 한문으로 지은 시를 포함한다. 특정시대의 시를 지칭하는 뜻으로는 한(漢)나라 때 시를 한시라고 하나, 이렇게 쓰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한시는 오언절구ㆍ칠언절구 등의 형식과 평측(平仄)ㆍ압운(押韻)의 규칙을 지켜야 한다. 중국의 전통적인 시가 양식상으로는 주(周)나라 때의 시경시(詩經詩), 한나라 때의 악부(樂府), 한ㆍ위(魏)ㆍ육조(六朝) 때의 고시(古詩), 당(唐)나라 때의 근체시(近體詩), 당나라ㆍ송(宋)나라의 사(詞) 등이 있다. 한시의 분류는 자수(字數)ㆍ구수(句數)ㆍ압운ㆍ운자(韻字)ㆍ위치 등을 기준으로 삼는다. 자수는 대부분이 5언ㆍ7언이며, 4언ㆍ6언도 있다. 구수는 대부분이 4구ㆍ8구인데, 일반적으로 4구는 절구(絶句), 8구는 율시(律詩)라고 한다. 압운에서 운자는 거의 구말(句末)에 둔다. 그러나 고대시 가운데에는 구수(句首) 구중에 압운하는 경우도 있다. 장시에서는 도중에 운을 바꾸기도 한다. 한시는 성격상 다음 3가지로 나눈다.
고시 당나라 때 근체시가 완성되면서부터, 이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고시라 하게 되었다. 이는 고체(古體) 또는 고풍(古風)이라고도 하는데, 고시는 2가지로 분류된다. ① 근체시 성립 이전, 즉 수(隋)나라 이전의 시를 가리킨다. 넓은뜻으로는 《시경(詩經)》 《초사(楚辭)》까지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고대의 가요로부터 양한(兩漢)ㆍ위ㆍ진(晉)ㆍ남북조(南北朝)의 악부 가행(歌行) 등을 가리킨다. ② 근체시 성립 이후의 시 중, 근체시 규격에 부합되지 않는 시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고체시의 체재는 근체시와 비교할 때 절구와 같은 기승전결(起承轉結)의 구법(句法)이 없고 율시처럼 연(聯) 구성이나 대구(對句)의 구속이 없으며, 율시ㆍ절구처럼 구수의 규정이 없고 압운은 있지만 엄격한 규칙도 없다. 대표적인 것이 오언고시와 칠언고시이다. 오언고시는 전한(前漢)시대에 그 정형(定型)이 성립되었고 건안(建安)시대에 대성되었다. 칠언고시는 육조 말기에 본격적인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 한 구의 7자를 4ㆍ3의 격조로 엮는 것이 정식이다.
악부 원래는 악가를 관장하던 관청의 명칭이었다. 여기에서 채집ㆍ보존한 악장(樂章)ㆍ가사(歌辭) 또는 그 모작(模作)을 통틀어 악부시(樂府詩) 또는 악부라 하였다. 한나라 무제 때에 악부는 악부관서(樂府官署)에서 협률(協律)된 시를 가리키게 되었다. 그러나 건안 이후에는 모의작이 성행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음악에 넣을 수 없었으므로 이를 신악부(新樂府)라 하였다. 그러므로 악부라 할 때에는 한나라 때의 악부를 가리키는 것이 되었고, 그 뒤로 시인들은 다만 옛 악부의 제목을 따서 장단구(長短句)를 지었을 뿐 노래로 부르지는 않았다.
근체시 고체시에 대한 새로운 형식의 시로서 당나라 때 그 형식이 완성되었으며 금체시(今體詩)라고도 한다. 기승전결의 구법이 있고, 연 구성과 대구의 구속이 있으며 구수의 규정이 있다. 율시ㆍ배율(排律)ㆍ절구의 3종류가 있는데, 각각 5언ㆍ7언의 구별이 있다. 율시는 1편이 4운 8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2구절을 묶어 1련이라 하고, 수련(首聯)ㆍ함련ㆍ경련(頸聯)ㆍ미련(尾聯)으로 구성된다. 이때 함련과 경련은 반드시 대어(對語)를 써서 연구(聯句)를 이루어야 한다. 압운(押韻)의 경우, 오언율시에는 제2ㆍ4ㆍ6ㆍ8구에, 칠언율시에는 제1ㆍ2ㆍ4ㆍ6ㆍ8구에 각각 각운(脚韻)을 붙여야 한다. 배율은 한 편이 6련 12구로 구성되며, 한 구는 5언이 정격이지만 7언도 있다. 평측과 압운은 율시와 비슷하지만 6련을 모두 대어연구(對語聯句)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절구는 기승전결의 4구로 이루어지며 제1ㆍ2구는 산(散), 제3ㆍ4구는 대(對)가 된다. 오언절구에는 제2ㆍ4구의 끝에, 칠언절구에는 제1ㆍ2ㆍ4구의 끝에 압운을 둔다.
출처: 야후백과사전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하늘구경>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