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혜의 발달로 세상이 혼란스러워졌다
- 장자(외편) 제10편 거협[6]-
아주 옛날에는 새끼에 매듭을 만들어 기호로 사용했으며, 먹는 음식을 달게 여겼고, 입는 옷을 아름답게 여겼고, 풍속을 따라 즐겼고, 거처를 편안히 여기며 지냈다. 이웃나라가 서로 바라보였고, 닭과 개의 소리가 이웃나라에까지 들렸다. 백성들은 늙어 죽을 때까지 서로 왕래도 하지 않았다. 이러한 시대야말로 지극히 잘 다스려지던 때라 말할 수 있다. 지금은 백성들이 목을 빼고 발돋움하여 기다리다가 어디에 현명한 사람이 있다는 말만 들리면 양식을 싸 짊어지고 그에게 달려가는 세상이 되었다. 그러니 안으로는 그의 어버이를 버리고, 밖으로는 그의 임금을 섬기는 일을 버리는 것이 된다. 그들의 발자취는 제후들의 국경에 줄을 잇게 되고, 그들의 수레바퀴 자국은 천리 밖에까지 연결이 된다. 이것은 바로 임금이 지혜를 좋아하는 데서 생긴 잘못이다. 임금이 정말로 지혜만 좋아하고 도를 알지 못하면 천하는 큰 혼란에 빠진다. 무엇으로 그것을 알 수 있는가 하면 활, 쇠뇌, 그물, 주살, 덫, 올가미 등의 지혜가 많게 되자, 새들은 곧바로 하늘 위를 어지럽게 날게 되었다. 낚시, 미끼, 그물, 투망, 전대, 통발 등의 지혜가 많아지자 곧바로 고기들은 물 속을 어지러이 헤엄치게 되었다. 덫, 함정, 그물 등의 지혜가 많아지자 곧바로 짐승들은 진창을 어지러이 뛰어다니게 되었다. 지혜, 거짓, 속임수, 원한, 궤변, 논쟁, 의견차이 등이 많아지자 곧바로 세상의 습속은 이론에 미혹되게 되었다. 그래서 세상은 언제나 크게 어지러운데, 그 죄는 지혜를 좋아하는 데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세상사람들은 모두 자기가 알지 못하는 일은 추구할 줄은 알면서도, 자기가 이미 알고 있는 일은 추구할 줄을 모른다. 모두 자기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일은 비난할 줄 알면서도, 이미 자기가 좋다고 생각한 일에 대해서는 비난할 줄을 모른다. 그래서 크게 어지러워지는 것이다. 그래서 위로는 해와 달의 밝음을 어기고, 산과 내의 정화를 녹여버리고, 가운데로는 사철을 변화를 무너뜨렸다. 숨쉬며 움직이는 벌레나 날아다니는 새들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그들의 본성을 잃게 되었다. 지혜를 좋아하는 것이 이토록 세상을 어지럽히게 된 것이다. 하와 은과 주나라의 3대 이후로는 언제나 이와 같았다. 농사짓는 백성들은 버리고 교활하고 간사한 자들을 좋아하며, 고요한 무위는 버리고, 남을 속이는 마음을 즐겨하는데, 그런 거짓은 이미 천하를 어지럽히기에 충분한 것이다.
- 莊子(外篇) 第10篇 胠篋[6]- 子獨不知至德之世乎? 昔者容成氏.大庭氏.伯黃氏.中央氏.栗陸氏.驪畜氏.軒轅氏.赫胥氏.尊盧氏.祝融氏.伏羲氏.神農氏, 當是時也, 民結繩而用之, 甘其食, 美其服, 樂其俗, 安其居, 隣國相望, 鷄狗之音相聞, 民至老死而不相往來. 若此之時, 則至治已. 今遂至使民延頸擧踵曰, 「某所有賢者」, 贏糧而趣之, 則內棄其親而外去其主之事, 足跡接乎諸侯之境, 車軌結乎千里之外. 則是上好知之過也. 上誠好知而無道, 則天下大亂矣. 何以知其然邪? 夫弓弩畢弋機變之知多, 則鳥亂於上矣. 鉤餌罔罟罾笱之知多.則魚亂於水矣. 削格羅落罝罘之知多, 則獸亂於澤矣. 知詐漸毒頡滑堅白解垢同異變多, 則俗惑於辯矣. 故天下每每大亂, 罪在於好知. 故天下皆知求其所不知而莫知求其所已知者, 皆知非其所不善而莫知非其所已善者, 是以大亂. 故上悖日月之明, 下爍山川之精, 中墮四時之施. 惴耎之蟲, 肖翹之物, 莫不失其性. 甚矣夫好知之亂天下也! 自三代以下者是已, 舍夫種種之民而悅 夫役役之佞, 釋夫恬淡无爲而悅夫啍啍之意, 啍啍已亂天下矣.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