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명예란 공용의 기구와 같다
- 장자(외편) 제14편 천운[5]-
공자가 나이 쉰한살이 되도록 도에 대하여 들어보지 못했다. 그래서 남쪽 패땅으로 가서 노자를 찾았다. 노자가 말했다. “어서 오십시오. 선생님을 북방의 현자라고들 하던데 선생님께서도 도를 터득하고 계시겠군요.” 공자가 말했다. “아직 터득하지 못했습니다.” 노자가 말했다. “선생님께서는 어디에서 도를 구하려 하셨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저는 도를 음양의 변화에서 구해보려 하였으나 십이 년이 지나도록 터득하지 못했습니다.” 노자가 말했다. “그렇겠지요. 도를 가져다 바칠 수 있는 것이라면 사람들은 누구나 그것을 자기 임금에게 바칠 것입니다. 도를 가져다 드릴 수 있는 것이라면 사람들은 누구나 그것을 자기 부모에게 갖다 드릴 것입니다. 도를 일러줄 수 있는 것이라면 사람들은 누구나 그것을 자기 형제들에게 일러줄 것입니다. 도를 남에게 줄 수 있는 것이라면 사람들은 누구나 그것을 자기 자손들에게 전해줄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렇게 할 수 없는 것은, 마음속에 도의 주인이 될만한 것이 없으면 그 사람에게 머물지 않고, 밖이 올바르지 않으면 행해지지 않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음속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밖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성인은 그것을 내놓지 않습니다.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것에 대하여 마음속에 주인노릇을 할 만한 것이 없으면 성인은 그것에 의거하지 않습니다. 명예란 공용의 기구와 같은 것이어서 홀로 많이 취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어짊과 의로움은 임금의 여관과 같은 것이니, 단지 하루저녁 묵는 것은 괜찮겠지만 오래 묵어 있을 곳은 못됩니다. 오래 머물러 있으면 책망만 많이 받게 될 것입니다. 옛날의 지극한 사람은 어짊을 가는 길로 삼고, 의로움을 숙소로 삼아 몸을 기탁함으로써 소요하는 고장에 노닐었습니다. 그는 자기 먹을 정도의 것만이 생산되는 땅을 지니고, 먹고 남을 것이 없는 정도의 채소밭을 가꾸었습니다. 소요한다는 것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 자기 먹을 것만을 생산한다는 것은 몸을 보양하기 쉬움을 뜻합니다. 먹고 남는 것이 없을 정도란 남에게 내놓지도 않음을 뜻합니다. 옛날에는 이것을「참됨을 취하는 노닒」이라 불렀습니다. 부를 좋은 것으로 아는 사람은 남에게 재산을 사양하지 못하며, 출세를 좋은 것으로 아는 사람은 남에게 명예를 양보하지 못하고, 권세를 가까이 하는 사람은 남에게 권력을 맡기지 못합니다. 그것들을 가지고 있자니 두렵고, 그것들을 버리자니 슬퍼질 것입니다. 전혀 도에 대하여 살핀 것이 없어서 언제나 쉬지 않고 변동하는 것들만을 바라보고 있으니, 이런 사람들은 하늘의 벌을 받을 백성들인 것입니다. 원한· 은혜· 취하는 것· 주는 것· 간하는 것· 가르치는 것· 살리는 것· 죽이는 것의 여덟 가지는 일을 바로잡는 기구입니다. 오직 위대한 변화를 따라서 막히는 것이 없는 사람만이 그것들을 제대로 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올바르게 하려면 자신부터 올바르게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스스로의 마음으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의 문이 열리지 않을 것입니다.”
- 莊子(外篇) 第14篇 天運[5]- 孔子行年五十有一而不問道, 乃南之沛見老聃. 老聃曰:「子來乎? 吾聞子, 北方之賢者也, 子亦得道乎?」 孔子曰:「未得也.」 老子曰:「子惡乎求之哉?」 曰:「吾求之於度數, 五年而未得也.」 老子曰:「子又惡乎求之哉?」 曰:「吾求之於陰陽, 十有二年而未得.」 老子曰:「然. 使道而可獻, 則人莫不獻之於其君. 使道而可進, 則人莫不進之於其親. 使道而可以告人, 則人莫不告其兄弟. 使道而可以與人, 則人莫不與其子孫. 然而不可者, 无佗也, 中无主而不止, 外无正而不行. 由中出者, 不受於外, 聖人不出. 由外入者, 無主於中, 聖人不隱. 名, 公器也, 不可多取. 仁義, 先王之蘧廬也, 止可以一宿而不可久處, 覯而多責. 「古之至人, 假道於仁, 託宿於義, 以遊逍遙之墟, 食於苟簡之田, 立於不貸之圃. 逍遙, 无爲也. 苟簡, 易養也. 不貸, 无出也. 古者謂是采眞之遊. 「以富爲是者, 不能讓祿. 以顯爲是者, 不能讓名. 親權者, 不能與人柄. 操之則慄, 舍之則悲, 而一無所鑑, 以闚其所不休者, 是天之戮民也. 怨恩取與諫敎生殺, 八者, 正之器也, 唯循大變无所湮者爲能用之. 故曰, 正者, 正也. 其心以爲不然者, 天門弗開矣.」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