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장자莊子

하늘구경 

 

 

 

 

눈앞의 대상에만 집착하는 것은 잘못이다


- 장자(외편) 제17편 추수[1]-


가을철이 되면 물이 불어난 모든 냇물이 황하로 흘러든다. 그 본 줄기는 커서 양편 물가의 거리가 상대편에 있는 소나 말을 분별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래서 황하의 신은 기뻐하면서 천하의 모든 아름다움을 자신이 갖췄다고 생각하고, 흐름을 따라 동쪽으로 가 북해에 도착했다. 그 곳에 이르러 동쪽을 바라보았으나 물의 끝이 보이지 않았다.

황하의 신은 비로소 그의 얼굴을 돌리어 북해의 신을 우러러 보고 탄식하며 말했다.

“속담에 백가지 도리를 알고는 자기 만한 사람은 없다고 생각하는 자가 있다고 하였는데, 저를 두고 한 말인 것 같습니다. 또한 저는 일찍이 공자의 넓은 지식을 낮게 평가하고 백의 같은 절의를 가볍게 여기는 이론을 듣고서도 지금까지는 믿지 않고 있었습니다. 지금에 와서 선생님의 끝을 알 수 없는 모습을 보고서야 그런 것 같이 느껴집니다. 제가 선생님의 문하로 들어오지 않았다면 위태로웠을 것입니다. 저는 오랫동안 위대한 도를 터득한 사람에게 비웃음을 받았을 것입니다.”

북해의 신이 말했다.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하여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공간의 구속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여름 벌레에게 어름에 대해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시간에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뚤어진 선비에게 도에 관해 얘기를 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가르침에 속박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 당신은 물가를 벗어나 큰 바다를 보고서야 당신의 추함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당신에게 위대한 도리를 얘기해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천하의 물 중에 바다 보다 더 큰 것은 없다. 모든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며, 잠시도 흘러듦을 멈추지 않는 데도 차서 넘치지 않는다. 미려에서는 바닷물이 잠시도 쉬지 않고 흘러 나가지만 물이 말라들지 않는다. 봄이나 가을에도 변화가 없고, 장마가 지나 가뭄이 드나 영향이 없다. 이 바다가 장강이나 황하의 흐름보다 얼마나 방대한 것인가는 수량으로 계측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것을 가지고 스스로 뛰어나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

하늘과 땅으로부터 형체를 물려받았고, 음과 양으로부터 기운을 물려받았다. 나는 하늘과 땅 사이에 있어서 작은 나무나 작은 돌이 마치 큰산에 있는 것이나 같은 존재인 것이다. 이렇게 나의 존재를 작게 보고 있는데 어찌 스스로 뛰어나다고 생각할 리 있겠는가? 사방의 바다가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크기를 헤아려보면, 소라 구멍이 큰 연못가에 나 있는 것과 비슷하지 않은가? 한 나라가 세상에 차지하는 크기를 헤아려 보면 큰 창고 속에 있는 곡식 알 하나와 비슷하지 않은가?

물건의 종류에는 몇 만이라는 숫자가 붙는데 사람들이 그 중 하나의 숫자를 차지한다. 사람들은 이 세상의 곡식들이 생산되는 곳과 배와 수레가 통하는 곳에 널리 살고 있는데, 사람이란 그 중 하나에 불과하다. 이런 사람을 만물에 비교해 본다면 말의 몸에 있는 하나의 가는 털에 지나지 않는다. 오제가 천자 자리를 서로 물려준 것이나, 삼왕에 이르러 서로 다툰 것이나, 어진 사람이 근심하는 것이나, 세상을 다스리는 사람이 수고를 하는 것이나 모두가 이와 같이 작은 일이다.

백이는 왕위를 사양함으로써 명성을 얻었고, 공자는 여러 가지 가르침을 얘기하여 박학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들은 스스로 남보다 뛰어나다고 여기고 있었지만, 당신이 조금 전까지 스스로 물 중에 가장 뛰어나다고 여기던 것과 비슷하지 않은가?”


- 莊子(外篇) 第17篇 秋水[1]-

秋水時至, 百川灌河, 涇流之大, 兩涘渚崖之間不辯牛馬. 於是焉河伯欣然自喜, 以天下之美爲盡在己. 順流而東行, 至於北海, 東面而視, 不見水端, 於是焉河伯始旋其面目, 望洋向若而歎曰:「野語有之曰:‘聞道百以爲莫己若者’, 我之謂也. 且夫我嘗聞少仲尼之聞而輕伯夷之義者, 始吾弗信. 今我睹者之難窮也, 吾非至於子之門, 則殆矣, 吾長見笑於大方之家.」

北海若曰「井䵷不可以語於海者, 拘於虛也. 夏蟲不可以語於氷者, 篤於時也. 曲士不可以語於道者, 束於敎也. 今爾出於崖涘, 觀於大海.乃知爾醜, 爾將可與語大理矣. 天下之水, 莫大於海, 萬川歸之, 不知何時止而不盈, 眉閭泄之, 不知何時已而不虛. 春秋不變, 水旱不知. 此其過江河之流, 不可爲量數. 而吾未嘗以此自多者, 自以比形於天地而受氣於陰陽, 吾在天地之間, 猶小石小木之在大山也, 方存乎見少, 又奚以自多! 計四海之在天地之間也, 不似礨空之在大澤乎? 計中國之在海內, 不似稊米之在大倉乎? 號物之數謂之萬, 人處一焉. 人卒九州, 穀食之所生, 舟車之所通, 人處一焉. 此其比萬物也, 不似豪末之在於馬體乎? 五帝之所運, 三王之所爭, 仁人之所憂, 任士之所勞, 盡此矣. 伯夷辭之以爲名, 仲尼語之以爲博, 此其自多也, 不似爾向之自多於水乎?」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