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杜甫[두보]旅夜書懷[여야서회]나그네의 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745  

 

旅夜書懷[여야서회] 객지 밤의 회포를 적다

 

- 杜甫[두보] -

 

細草微風岸[세초미풍안] 여린 풀 위로 솔솔바람 부는 기슭

危檣獨夜舟[위장독야주] 높은 돛 배 안에 홀로 잠 못 이루네

星垂平野闊[성수평야활] 넓게 트인 들판엔 별빛이 드리우고

月湧大江流[월용대강류] 달빛에 일렁일렁 양자강은 흐르네

名豈文章著[명기문장저] 어찌 문장으로 이름을 드러내리

官應老病休[관응노병휴] 늙고 병들면 물러나야 하는 것을

飄飄何所似[표표하소사] 이리 저리 바람에 정처 없이 날리니

天地一沙鷗[천지일사구] 천지간을 떠도는 난 한 마리 갈매기

 


두보[杜甫] 성당기(盛唐期)의 시인으로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야로(少陵野老), 두릉야로(杜陵野老), 두릉포의(杜陵布衣) 등이 있다. 양양(襄陽) 지방 출신으로 과거에 응시했으나 실패하고 40대인 천보(天寶) 14(755)에야 비로소 벼슬길에 오르게 된다. 안녹산(安祿山)의 난 당시 장안에서 반군에게 잡혔다가 탈출, 숙종(肅宗)의 진영에 합류하여 좌습유(左拾遺)와 검교공부원외랑(檢校工部員外郞)을 지낸 적이 있어서 사람들이 그를 두습유(杜拾遺), 두공부(杜工部) 등으로 불렀고, 또 장안성 밖 소릉(少陵)의 초당(草堂)에서 지낸 적이 있기 때문에 두소릉(杜少陵), 두초당(杜草堂)으로 부르기도 했다. 그는 시선(詩仙) 이백(李白)과 함께 이두(李杜)로 불렸는데, 두목(杜牧)과 이상은(李商隱)의 합칭인 소이두(小李杜)와 구별하기 위해 대이두(大李杜)라고도 부른다. 문학을 발판 삼아 벼슬로 나아가려던 그의 꿈이 큰 성취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짧은 한때를 빼고는 평생을 가난과 병으로 고생을 겪어야 했다. 중국의 서북 지역을 유랑하다가 결국 병사했다. 벼슬살이와 달리 문학, 특히 시에서 이룬 성취가 대단하였다. 남긴 시가 1500여 수에 달하며 작품집으로 두공부집(杜工部集)이 있다. 후세 사람들에게 그 자신은 시성(詩聖)으로, 또 그의 시는 시사(詩史)라는 영예로운 칭호를 얻었다.

위장[危檣] 높이 솟은 돛대.

독야[獨夜] 홀로 지내는 밤.

사구[沙鷗] 문학 작품에서 해안가 모래톱에 사는 갈매기 따위의 물새를 가리켜 일컫는 말.

-

 



번호 제     목 조회
422 高適[고적]除夜作[제야작]한 해를 보내며 3816
421 王維[왕유]山中[산중]산 속 3811
420 鄭知常[정지상] 開聖寺 八尺房[개성사 팔척방] 개성사에서 3808
419 李白[이백]採蓮曲[채련곡]연밥 따는 처녀 3805
418 鄭知常[정지상] 送人[송인] 그대를 보내며 3804
417 丁若鏞[정약용]曉坐[효좌]새벽에 홀로 앉아 3793
416 楊萬里[양만리]下橫山灘頭望金華山 01[하횡산탄두망금화산 01]여행과 시 3775
415 白居易[백거이]問劉十九[문유십구]눈 내릴 것 같은 저녁 3765
414 徐居正[서거정] 悶雨[민우] 가뭄걱정 3760
413 金炳淵[김병연] 詠笠[영립] 나의 삿갓은 3758
412 慧勤[혜근] 山居[산거] 산에 살다 3753
411 陶淵明[도연명] 歸園田居五首[其一]귀원전거5수1 / 전원에 돌아와서 375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