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四]대주5수4 / 백 년을 산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86  

 

對酒五首[其四]대주54 / 백 년을 산들

 

- 白居易[백거이] -

 

百歲多時壯健[백세무다시장건] 백 년을 산들 건강한 때 얼마이며

一春能幾日晴明[일춘능기일청명] 봄철이라 한들 맑은 날 그 얼마랴

相逢且莫推辭醉[상봉차막추사취] 이렇게 만났으니 마다말고 취하여

聽唱陽關第四聲[청창양관제사성] 양관의 서글픈 이별가나 들으세나

 


추사[推辭] 물러나며 사양함.

양관제사성[陽關第四聲] 양관(陽關)은 고대 관문(關門)의 명칭으로, 지금의 감숙성(甘肅省) 돈황현(敦煌縣) 서북쪽이다. 양관곡은 위성곡(渭城曲) 혹은 양관삼첩(陽關三疊)이라고도 불리며, 소동파는 이 시의 창법을 여러 가지로 정리하기도 하였는데, 그 창법 중에 하나가 앞의 세 구는 한 번 창()하고, 4구만 세 번 중첩하여 창()하는 방법인데 간단하면서도 음악적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훗날, 벗을 송별할 때 불러주는 송별가(送別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양관[陽關] 돈황시(敦煌市) 서남쪽에 있다. 기원후 121년 서한의 무제가 서역을 경영하기 위해 하서주랑(河西走廊)에 돈황 등 4개 군을 설치하고 양관(陽關)과 옥문관(玉門關)을 세웠다. 서한이래로 역대 왕조들이 군사요충지인 이곳으로 군사를 보내 지켰다. 많은 군사들이 이곳을 지키기 위해 싸웠고, 상인과 승려, 사신, 여행객 등 많은 사람들이 또한 이곳을 내왕했다. 특히 문인들이 이곳에서 감회를 읊은 작품이 많다.

양관곡[陽關曲] 본명은 위성곡(渭城曲)이다. 진시황이 수도로 삼았던 함양(咸陽)은 당대(唐代)에는 위성(渭城)으로 불렸다. 당시 변방인 양관(陽關)으로 떠나는 사람들을 위해 이곳에서 송별연을 베풀고 전송했다. 왕유(王維)의 시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는 그런 정경을 읊은 것 중에 잘 알려진 작품이다. 이 시는 일명 위성곡(渭城曲) 또는 양관곡(陽關曲)이라고도 한다. 양관곡이라고 하면 보통 이별가의 대명사로 통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06 羅鄴[나업]流水[유수]흐르는 물 4680
505 鄭夢周 [정몽주] 江南柳 [강남류] 강남의 버들 4675
504 崔惟淸[최유청] 雜興九首[其一]잡흥9수1 / 봄풀은 어느덧 저리 푸르러 4672
503 陶淵明[도연명] 讀山海經十三首[其一]독산해경13수1 / 산해경을 읽다 4670
502 李商隱[이상은]無題[무제]초는 재 되어야 4664
501 李奎報[이규보] 下寧寺[하령사] 하령사 4650
500 白居易[백거이] 漁父[어부] 어부 4635
499 常建[상건] 題破山寺後禪院[제파산사후선원] 파산사에서 4605
498 佚名[일명] 古詩十九首[其十五]고시19수15 / 백년도 못 살면서 4602
497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四]대주5수4 / 백 년을 산들 4587
496 梅堯臣[매요신] 魯山山行[노산산행] 노산을 오르며 4576
495 李白[이백]山中問答[산중문답]왜 산에 사느냐고 4558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