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賈島[가도] 尋隱者不遇[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았느나 만나지 못하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307  

 

尋隱者不遇[심은자불우] 은자를 찾아가 못 만나다

 

- 賈島[가도] -

 

松下問童子[송하문동자] 소나무 아래 동자에게 물으니

言師採藥去[언사채약거] 스승은 약초 캐러 가셨다 하네

只在此山中[지재차산중] 이 산 속 어딘가에 계시겠지만

雲深不知處[운심부지처] 구름 짙어 계신 곳 모른다 하네

 

이 시가 가도(賈島)의 작품이 아니고, 손혁(孫革)의 방양존사(訪羊尊師)라는 설도 있다.


가도[賈島] 가도는 당() 나라 때의 시인으로 범양(范陽: 지금의 北京市북경시 부근) 사람이다. 자는 낭선(浪仙)이다. 어려서 출가하여 승려가 되어 법명(法名)을 무본(無本)이라 했으나, 시로 한유(韓愈)에게 인정받았고, 한유의 권면으로 환속하여 그에게 시문을 배웠다. 문종(文宗) 때에 장강(長江: 지금의 四川省사천성 蓬溪縣봉계현) 주부(主簿)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가장강(賈長江)이라고 불린다. 시를 지을 때에 매우 고심하여 글자 한 자도 빈틈없이 사용하는 시인으로 유명했다. 그의 시는 격조가 맹교(孟郊)와 비슷하여 교한도수(郊寒島瘦)’라고 칭해진다. 당재자전(唐才子傳)에 소전(小傳)이 있으며, 시집으로 장강집(長江集)이 전한다. 그의 시 제이응유거(題李凝幽居)새는 못가의 나무에 깃들이고 중은 달 아래 대문을 두드린다[鳥宿池邊樹 僧敲月下門]”라는 구절에서, ‘퇴고(推敲)’라는 말이 유래하였다.

퇴고[推敲] 시문(詩文)을 지을 때 자구(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는 일을 이른다. ()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나귀를 타고 가다 시 한 수가 떠올랐다. 그것은 새는 연못 가 나무에 자고 중은 달 아래 문을 민다[鳥宿池邊樹 僧推月下門]”라는 것이었는데, 달 아래 문을 민다보다는 두드린다[]고 하는 것이 어떨까 하고 골똘히 생각하다 그만 경조윤(京兆尹) 한유(韓愈)의 행차 길을 침범하였다. 한유 앞으로 끌려간 그가 사실대로 이야기하자 한유는 노여운 기색도 없이 한참 생각하더니 역시 민다는 퇴()보다는 두드린다는 고()가 좋겠군.”이라 하며 가도와 행차를 나란히 하였다는 고사(故事)에서 생겨난 말로, 이때부터 퇴고는 시를 지을 때 제자리에 꼭 알맞은 글자를 놓으려고 고심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唐詩紀事>

 

 



번호 제     목 조회
530 李穡[이색] 遣懷[견회] 만년에 인생을 회고하며 5166
529 陶淵明[도연명] 雜詩十二首[其一]잡시12수1 / 세월은 기다리지 않는다 5151
528 丁若鏞[정약용] 古詩二十七首고시27수[08] 제비의 시름 5116
527 金富軾[김부식] 甘露寺 次惠遠韻[감로사 차혜원운] 감로사에서, 혜원의 시에 차운하여 5107
526 杜甫[두보]春夜喜雨[춘야희우]봄밤에 내린 단비 5064
525 崔致遠[최치원] 江南女[강남녀] 강남의 여자아이 5016
524 金正喜[김정희] 悼亡[도망] 죽은 아내를 애도함 5011
523 王維[왕유]雜詩[잡시]봄의 우수 4996
522 王安石[왕안석] 卽事二首[즉사2수] 구름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4974
521 王維[왕유]鳥鳴澗[조명간]새 우는 산 골 4927
520 賀知章[하지장]回鄕偶書[회향우서]고향에 돌아와서 4861
519 杜甫[두보]秋雨嘆三首[其一]추우탄3수1 / 가을비에 탄식하다 484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