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주고재재[酒誥梓材] ~ 주공몽견[周公夢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39  
♞주고재재[酒誥梓材] 주공이 그 아우인 강숙(康叔) 봉(封)을 은나라의 구토에 봉하면서 은나라가 말기에 나라가 부패하여 망하게 된 것을 말하고 그 전철을 밟으면 안된다고 훈계한 내용을 담은 글로써 상기 두 편 외에 강고(康誥) 한 편이 더 있다. 모두 상서(尙書) 주서(周書)에 실려 있다.
♞주고[酒誥] 주왕(紂王)에게 물이 들어 술을 좋아하는 은(殷) 나라 백성들을 경계시키기 위해 주(周) 나라 성왕(成王)이 주공(周公)에게 명하여 반포토록 한 글로, 서경(書經) 속에 들어 있다.
♞주공[周公] 주나라를 세운 주무왕의 동생이다. 정확한 사망 연대는 확인할 수 없으나 대체적으로 기원전 1100년에서 1000년 사이로 보며 공자의 탄생은 기원전 551년이다. 무왕이 죽고 어린 그의 아들 성왕이 즉위하자 스스로 섭정의 자리에 앉아 주나라를 통치하다가 성왕이 장성하자 섭정의 자리에서 내려와 신하의 자리로 돌아갔다. 그는 예악을 정비하고 전장(典章)제도를 만들어 주나라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공자를 비롯한 유가들에게 성인으로 추앙되었다.
♞주공몽[周公夢] 논어(論語) 술이(述而)에 “도가 행해지지 않는지라 내가 꿈에 주공을 보지 못한 지 오래구나.” 하였다.
♞주공몽견[周公夢見] 공자는 주공처럼 도를 펴고자 하여 비록 시대는 근 천년의 차이가 있었지만, 꿈속에 보고 하여 반려(伴侶)가 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공자는 “심하다 나의 쇠함이여, 내가 다시 꿈에 주공을 보지 못한 지 오래다.[甚矣吾衰也 久矣吾不復夢見周公]” 하였다.<論語 述而> 공자가 장년기에는 주공의 도를 행하고자 하였으므로 가끔 꿈에 주공을 보았었는데, 이제는 늙어서 뜻도 꿈도 모두 없어졌음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01 서저[棲苴] ~ 서절구투[鼠竊狗偸] 4997
400 자로부미[子路負米] ~ 자릉[子陵] ~ 자린고비[玼吝考妣] 5000
399 두무악[頭無岳] ~ 두미삼전[斗米三錢] 5004
398 자운[紫雲] ~ 자운식자종하보[子雲識字終何補] ~ 자운조[子雲嘲] 5006
397 범초[凡楚] ~ 범초존망[凡楚存亡] 5008
396 장정위[張廷尉] ~ 장조염승명려[莊助厭承明廬] ~장족자율사[將哫訾栗斯] 5008
395 춘치자명[春雉自鳴] ~ 춘휘보하방[春暉報何方] 5009
394 패어[佩魚] ~ 패우독[佩牛犢] 5009
393 습재[習齋] ~ 습착치[習鑿齒] 5011
392 팔의[八議] ~ 팔절[八節] 5011
391 백하[白下] ~ 백하골[柏下骨] 5015
390 육적[六籍]/육적회귤[陸績懷橘]/육전서[六典書] 502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