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추형[秋螢] ~ 추획사[錐劃沙]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22  
♞추형[秋螢] 두보(杜甫)가 장안(長安)을 떠나 봉선현(奉先縣)의 역소(投所)에 우거(寓居)할 때 지은 ‘교릉시 삼십운(橋陵詩三十韻)’을 말한다. 그 시의 마지막 부분에 “늙은 말 같은 내 신세를 현령께서 동정하여, 반딧불 잡아 글 읽는 독서인에게 역소의 한 건물을 빌려 주셨네.[主人念老馬 廨署容秋螢]”라는 구절이 나온다. <杜少陵詩集 卷3>
♞추형모설[秋螢暮雪] 진(晉) 나라 차윤(車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빛으로 책을 읽고, 역시 진 나라의 손강(孫康)이 눈[雪] 빛으로 등잔불을 대신해 책을 읽었다는 ‘형창설안(螢窓雪案)’의 고사가 전해 온다. <晉書 車胤傳·蒙求 中 孫康映雪>
♞추혜서[追惠署] 연산군 때 궁인들의 상장관곽(喪葬棺槨) 및 예장(禮葬)에 대한 사무를 맡은 곳을 말한다.
♞추호[秋毫] 가을철의 가늘어진 짐승의 털. 썩 적음.
♞추호부[秋胡婦] 추호는 춘추시대 노(魯) 나라 사람인데, 그의 아내가 시집온 지 5일 만에 그는 진(陳)에 부임하였다. 그로부터 5년 뒤에야 돌아오다가 길가에서 뽕 따는 부인을 보고 좋아하여 금(金)을 주자, 그 부인은 돌아보지도 않고 가버렸는데, 추호가 자기 집에 와서 보니 아까 그 부인이 바로 자기 아내였었다. 그러자 그 부인은 남편의 불효(不孝)와 불의(不義)를 꾸짖고 강물에 투신자살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추화[推火] 밀양(密陽)의 고호이다.
♞추환[芻豢] 풀을 먹는 우양(牛羊)과 곡식을 먹는 견시(犬豕)를 가리키는 말로, 감미로운 음식을 뜻한다. 맹자(孟子) 고자 상(告子上)에 “의리(義理)가 나의 마음에 좋기가 추환(芻豢)이 나의 입에 좋은 것과 같다.” 하였다.
♞추획사[錐劃沙] 붓을 들어 글씨를 쓸 때 송곳으로 모래를 긋는 것과 같이 한다는 것으로 필법의 정묘함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093 무산운우[巫山雲雨] ~ 무산지몽[巫山之夢] 5225
5092 불성무물[不誠無物] ~ 불세출[不世出] 5224
5091 추형[秋螢] ~ 추획사[錐劃沙] 5223
5090 취아[翠娥] ~ 취옹정[醉翁亭] 5222
5089 장석[丈席] ~ 장석음[莊舃吟] 5221
5088 단사[丹砂] ~ 단사군[丹砂郡] 5218
5087 경자유전[耕者有田] ~ 경적필패[輕敵必敗] 5217
5086 취검[炊劒] ~ 취굴주[聚窟洲] 5215
5085 여불위[呂不韋] ~ 여붕우교이불신호[與朋友交而不信乎] 5213
5084 장보[章甫] ~ 장부계[壯夫戒] 5213
5083 장영사계노추두[長纓思繫老酋頭] ~ 장오[檣烏] ~ 장왕[長往] 5213
5082 풍운표도[風雲豹韜] ~ 풍월주인[風月主人] 5211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