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재아[宰我] ~ 재예[宰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92  
♞재아[宰我] 가급적 낮잠을 자지 않으려 했다는 말이다. 공자의 제자 재여(宰予)가 낮잠을 자다가 공자에게 호되게 꾸지람을 당한 고사가 있다. <論語 公冶長>
♞재아도차[宰我徒嗟] 공자의 제자 재여(宰予)이다. 낮잠을 자다가 공자에게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다.”는 꾸중을 받았다. <論語 公冶長>
♞재여[宰予] 공자의 제자.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편에 “재여가 낮잠 자거늘, 공자가, ‘썩은 나무는 아로새길 수 없고 분토(糞土)의 담장은 쇠손질할 수 없다.’고 했다[宰予晝寢 子曰 朽木不可雕也 糞土之墻 不可杇也].” 하였다.
♞재여간의형[在輿看倚衡] 어느 일에도 학문이 있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에 “자장(子張)이 행함을 물으니 공자가 ‘서 있으면 그 앞에 참예함을 보고 수레에 있으면 그 수레 앞의 잡고 타는 나무에 기댐을 보아야 한다. 그렇게 한 연후에 행할 수 있다.” 하였다.
♞재여장[宰予墻] 재여(宰予)는 공자의 제자인데, 재여가 낮잠을 자자, 공자가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가 없고 썩은 흙으로 쌓은 담에는 흙손질할 수가 없다.” 하면서 꾸짖었다. <論語 公冶長>
♞재예[宰豫]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아(子我)이고 기원전 522년에 태어나서 458년에 죽었다.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이름은 예(豫)며 노(魯)나라 사람이다. 문사(文辭)에 특히 뛰어나고 자공과 함께 변설에 능했다. 제나라 들어가 임치의 대부가 되어 제간공 편에 섰다가 상국 전상에게 살해 되어 공자가 이를 부끄럽게 여겼다. 중니제자 열전과 논어에 공자와의 대화가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좌전의 기록에는 전상에 의해 살해된 사람은 자가 역시 자아(子我)인 감지(監止)라고 했다.
 



번호 제     목 조회
797 석실[石室] ~ 석실옹[石室翁] 4588
796 삼경[三經] ~ 삼경황송국[三徑荒松菊] 4588
795 자미객[紫薇客] ~ 자미랑[紫微郞] ~ 자미원[紫微垣] 4588
794 주작도위[主爵都尉] ~ 주작항[朱雀桁] ~ 주잠원출초현양[酒箴元出草玄揚] 4588
793 현산[峴山] ~ 현상호의[玄裳縞衣] 4591
792 거조[擧條] ~ 거진미삼갱[居陳未糝羹] 4591
791 도남[圖南] ~ 도남붕익능창해[圖南鵬翼凌蒼海] ~ 도능규공실[道能窺孔室] 4591
790 재아[宰我] ~ 재예[宰豫] 4593
789 결계[結界] ~ 결리재격세[結褵纔隔歲] 4593
788 하가찬[何家饌] ~ 하간전[河間錢] 4594
787 헌옥재월[獻玉再刖] ~ 헌전[軒躔] 4594
786 매치애[賣癡獃] 4595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